표 Ⅳ-4 초·중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변화 인식 단위 : 명 (%)

구분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이다 그렇다 매우 그렇다 전체
2-1.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필수화에 따른 수업의 영향 여부 59(2.2%) 172(6.5%) 630(23.9%) 1,435(54.5%) 335(12.7%) 2,631(100.0%)
42(2.4%) 187(10.7%) 553(31.6%) 776(44.4%) 191(10.9%) 1,749(100.0%)
전체 101(2.3%) 359(8.2%) 1,183(27.0%) 2,211(50.5%) 526(12.0%) 4,380(100.0%)
2-2. 핵심역량 도입에 따른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의 강화 여부 106(4.0%) 390(14.8%) 1,061(40.3%) 956(36.3%) 118(4.5%) 2,631(100.0%)
50(2.9%) 260(14.9%) 854(48.8%) 531(30.4%) 54(3.1%) 1,749(100.0%)
전체 156(3.6%) 650(14.5%) 1,915(43.7%) 1,487(33.9%) 172(3.9%) 4,380(100.0%)
2-3. 교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디지털 리터러시 관련 성취기준 파악 여부 116(4.4%) 438(16.6%) 756(28.7%) 1,045(39.7%) 276(10.5%) 2,631(100.0%)
142(8.1%) 457(26.1%) 547(31.3%) 481(27.5%) 122(7.0%) 1,749(100.0%)
전체 258(5.9%) 895(20.4%) 1,303(29.7%) 1,526(34.8%) 398(9.1%) 4,380(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