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성취기준 기반 | •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교사가 계획한 성취기준 순서에 따라 교수학습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
(2) | 교육과정-교수·학습-평가 간 연계를 통한 수업의 변화 모색 | • 수업 중 평가, 교수 학습과 연계된 평가를 지향하므로, 수업과 평가를 연계하여 평가 결과에 따라 수업 방식을 조정할 수 있음. |
(3) | 학생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종합적 평가 | • 인지적 및 정의적 특성, 역량을 포함한 평가•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내용의 범위가 확장되고, 내용 영역과 연계하여 기능이나 역량의 발달 과정을 평가할 수 있음. |
(4) | 학생의 학습 과정에 대한 평가 | • 학습 과정과 결과에서 학생 간 상호작용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여 지식, 기능, 태도의 발달 상태를 파악함. |
(5) | 수업 중 수시로 이루어지는 평가 | • 수업 과정에서 일회성 평가가 아닌 수시 평가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 |
(6) | 다양한 평가방법을 활용한 자료수집 다원화 | • 학습 과정과 결과에서 평가할 수 있는 학생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평가 요소로 설정하고, 적절한 평가방법과 평가 도구를 개발해야 함.• 서술형과 논술형 평가 및 수행평가 비중을 확대해야 함. |
(7) | 평가 주체 다양화 | • 교사, 자신, 동료 학습자, 여러 교사가 평가의 주체로 참여할 수 있음.• 자기평가, 동료평가 등을 통해 직간접적으로 학생이 평가의 주체가 될 수 있음. |
(8) | 즉각적이고 개별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의 학습과 교사의 수업 개선 | • 피드백이 필요한 시점에 교사와 학생에게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음.• 교사와 학생은 이를 바탕으로 적절한 시기에 교수·학습 방식을 개선할 수 있음. |
(9) | 학생의 성장과 변화를 지원하기 위한 평가 결과 활용 | • 학습 활동에 대한 관찰을 통해 학습자의 부족한 점을 채워줌.• 학습 과정 평가를 통해 피드백을 제공해줌으로써 우수한 점을 심화·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