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II-3 의사소통 역량 하위요소: 2차 델파이 조사안

범주 및 영역 하위요소 의미
의K-1 의사 소통 참여자 K-1 수신자(독자, 청자)에 대한 이해 수신자(독자, 청자)의 관심 분야, 지식, 요구, 성격과 가치관 등을 이해하고 의사소통 시 활용한다.
K-2 발신자(필자, 화자)에 대한 이해 발신자(필자, 화자)의 자기인식을 통해 의도와 목적, 준비도 등을 파악한다.
의K-2 의사 소통 매개 K-3 언어, 준언어, 비언어의 특성에 대한 이해 언어, 준언어(말의 빠르기, 높낮이, 강약 등), 비언어(표정, 몸짓, 의상 등)의 중요성과 특성을 이해한다.
K-4 다양한 매체와 매체 자료에 대한 이해 다양한 매체와 매체 자료(그림, 이미지, 영상 등)의 특성을 이해한다.
의K-3 의사 소통 맥락 K-5 의사소통 목적에 대한 이해 다양한 의사소통의 목적(설득, 정보 전달, 관계 형성, 정서 표현 등)에 대해 이해한다.
K-6 의사소통 상황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참여자의 규모(개인, 소집단, 대집단)과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한다.
의S-1 의사 소통 맥락 파악 S-1 의사소통 참여자의 특성 파악하기 의사소통 참여자들의 관계를 이해하고 수신자와 발신자의 특성을 분석한다.
S-2 의사소통 상황 분석하기 의사소통의 관습과 문화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현재의 의사소통 상황을 분석한다.
의S-2 의사 소통 내용 이해 S-3 사실적 이해 의사소통 내용의 구조나 전개 방식 등을 파악한다.
S-4 추론적 이해 베경지식과 경험을 활용하여 의도나 목적, 생략된 내용 등을 미루어 짐작한다.
S-5 비판적 이해 의사소통 내용의 일관성이나 타당성, 자료의 적절성 등을 검토한다.
S-6 감상적 이해 의사소통 내용에 공감하며 즐거움과 깨달음을 얻는다.
S-7 창의적 이해 의사소통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견해를 재구성하거나 문제 해결 방안을 생성한다.
의S-3 의사 소통 내용 구성 S-8 의사소통 내용 생성하기 의사소통의 목적, 주제 등을 고려하여 정보를 생성, 수집, 선정한다.
S-9 의사소통 내용 조직하기 의사소통 상황의 분석을 기반으로 의사소통 목표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표현 전략을 선정한다.
의S-4 의사 소통 내용 표현 S-10 설득하기 설득의 표현 원리를 바탕으로 토론, 토의, 협상 등을 통해 청자/독자의 신념, 태도,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낸다.
S-11 정보 전달하기 정보 전달의 표현 원리를 바탕으로 목적과 대상에 적합하게 의사소통한다.
S-12 관계 지향적(친교) 소통하기 의사소통 참여자들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의사소통하며 대인 관계를 형성, 발전시킨다.
S-13 정서 표현하기 의사소통 참여자들을 고려하여 자기의 기분과 느낌을 적절히 표현한다.
의S-5 점검과 조정 S-14 의사소통 내용의 점검과 조정 의사소통 내용의 적절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고 조정한다.
S-15 의사소통 과정의 점검과 조정 의사소통의 각 단계(의사소통 계획의 수립, 의사소통의 수행, 의사소통의 결과 확인)를 점검하고 조정한다.
의A-1 존중 A-1 경청, 공감 의사소통 내용에 대해 주의를 기울이고 타인의 입장을 수용적 입장에서 이해하는 등 공감하는 태도를 갖는다.
A-2 배려, 예절 상대방의 감정이나 상황을 배려하며 공손하고 바른 태도로 의사소통에 참여한다.
A-3 타인과 다른 문화에 대한 인정 자기와 타인, 자기가 속한 공동체의 문화와 타인이 속한 공동체의 문화 간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의A-2 적극성 A-4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 자기 객관화와 합리적 사고를 통해 의사소통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의사소통에 능동적으로 참여한다.
A-5 의사소통에 대한 관심과 노력 다양한 의사소통에 관심을 가지고 자신의 의사소통 및 의사소통 문화를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갖는다.
의A-3 책임감 A-6 의사소통 내용 선정과 표현에 있어서의 정직함 의사소통의 내용과 방법 선정 시 지적 재산권을 침해하거나 내용을 과장, 축소, 왜곡하지 않고 의사소통의 내용을 선정, 조직한다.
A-7 의사소통 결과의 수용과 실천 의지 자신의 말이나 글에 대한 책임감을 가지고, 합리적 절차에 의해 도출된 의사소통 결과를 수용하여 실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