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 의사소통 역량 | 정보·경험·아이디어의 전달과 교환,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탐구, 디지털 매체에 대한 이해와 효과적인 활용* 출처:https://curriculum.gov.bc.ca/sites/curriculum.gov.bc.ca/files/pdf/CommunicationCompetencyProfiles.pdf(2016. 7. 1. 검색) |
호주 | 문식성 | 듣기/읽기/보기를 통한 텍스트 이해(텍스트를 탐색하고 읽고 검토하기, 텍스트를 듣고 반응하기, 텍스트를 분석하고 해석하기), 말하기/쓰기/만들기를 통한 텍스트 구성(구어/문어/시각/복합매체 텍스트 구성하기, 다른 사람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언어 사용하기, 프레젠테이션), 텍스트 지식(텍스트 구조에 대한 지식 사용, 텍스트 응집성에 대한 지식 사용), 문법 지식(문장 구조에 대한 지식 사용, 단어와 어휘에 대한 지식 사용, 의견과 관점을 표현하기), 어휘 지식(어휘에 대한 이해, 철자 지식의 사용, ), 시각적 지식(시각적 요소가 의미를 만들어내는 방식에 대한 이해)* 출처:http://www.acara.edu.au/_resources/General_capabilities_-_LIT_-_learning_continuum.pdf(2016. 7. 1. 검색) |
싱가포르 | 의사소통/협력/정보 기능 | 정보의 탐색과 선택, 서로 다른 목표의 성취를 위한 협업, 사이버 공간에서의 윤리적 태도, 상호 존중하는 태도, 책임감* 출처:https://www.moe.gov.sg/education/education-system/21st-century-competencies(2016. 7. 22. 검색) |
유럽연합 | 의사소통 | 지식(어휘, 기능적인 문법, 언어의 기능), 기능(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서 구두로 그리고 글로 의사소통하고, 상황에 맞게 자신의 의사소통을 모니터하고 적용하는 기능), 태도(비판적이고 건설적인 대화, 미적인 품격을 즐기고 추구하는 긍정적인 태도)* 출처:http://eur-lex.europa.eu/legal-content/EN/TXT/?uri=URISERV:c11090(2016. 7. 1. 검색) |
ATC21S | 의사소통 | 지식-모국어에 대한 유창성(기초 어휘·문법·언어 기능에 대한 지식, 다양한 유형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구어의 특징에 대한 이해, 문어의 주요 특징 이해), 지식-부가적 언어에 대한 역량(의사소통에서 반언어적 특징에 대한 이해, 사회적 관습과 문화적 측면·다른 지역·사회·의사소통 환경에서 언어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기능-모국어와 부가적 언어에 대한 역량(다양한 상황의 다양한 메시지, 다양한 목적의 메시지에 대해 문어와 구어 형식에서 의사소통하고 이해하는 능력. 또는 다른 이들을 이해하게 하는 능력, 다양한 상황에서 듣고 이해하는 능력. 명료하고 간명하게 말하는 능력, 다른 맥락에서 다양한 읽기 목적(정보를 위한 읽기, 연구를 위한 읽기, 재미를 위한 읽기 등) 및 다양한 텍스트 유형에 적절하게 전략을 조정하여 읽고 이해하는 능력, 다양한 목적에 맞게 다른 유형의 텍스트를 쓰는 능력. 그리고 쓰기 과정을 모니터하는 능력, 다른 관점을 수용하면서 확신적으로 구어나 문어에서 자신의 주장을 형성하는 능력, 구어나 문어의 형태로 복잡한 맥락에 대해 이해하거나 생산하거나 표현하는 aids(노트, 도표, 지도와 같은)를 활용하는 데 필요한 기능), 태도-모국어에 대한 역량(모국에 대한 긍정적 태도의 개발, 모국어를 개인적이고 문화적 풍부함의 원천이라고 인식하는 것, 타인의 견해나 주장에 대해 열린 마음으로 접근하려는 기질, 건설적이고 비판적인 대화에 참여하는 기질, 공적인 자리에서 말할 때 자신감, 말의 기술적 정확성을 넘어서 미적인 질을 높이려는 의지, 문학에 대한 사랑, 간문화적 의사소통에 대한 긍정적 태도), 태도-부가적 언어에 대한 역량(문화적 차이에 대한 감수성, 고정관념에 대한 저항)* 출처: Binkley et al., 2012, pp. 44-45. |
국가직무능표준(NCS)의 직업기초능력 | 의사소통 능력 | 문서 이해 능력, 문서 작성 능력, 언어 구사력, 기초 외국어 능력*, 경청 능력* 출처:http://www.ncs.go.kr/ncs/page.do?sk=P1A4_PG09_005(2016. 7. 1. 검색) |
직업기초능력평가 (Teen-up) | 의사소통-국어 | 말-이해, 글-이해, 말-표현, 글-표현* 출처:http://www.teenup.or.kr/intro/introA-02-00.do?MENU_ID=A-02-00(2016. 7. 1. 검색) |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 | 의사소통 역량 | 듣기, 토론과 조정, 읽기, 쓰기, 말하기* 출처:K-CESA; 교육과학기술부·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p. 2. |
미래 핵심역량 계발을 위한 교과 교육과정 탐색 | 국어 사용 능력 | 언어의 기능, 언어적 상호작용의 주요 형식, 폭넓은 문학과 비문학 텍스트, 언어의 다양한 글의 주요 특징, 언어 변이, 텍스트의 유형과 구조, 언어 처리(사용) 과정과 소통, 기능 문법, 언어 사용이 다른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자신의 언어를 자신감 있고 확신 있게 창의적으로 사용하기의 중요성과 필요성, 언어 사용 능력과 정체성과 국제 문화 이해, 사회적 소통과 협력 등 국어과의 핵심역량과의 관계, 다양한 소통 상황에 적합하게 구어·문어·시각·디지털·복합형식의 텍스트로 소통하기, 상황의 요구에 적합하게 자신의 소통에 대해 모니터하고 채택하기, 상황에 적절하면서 확신을 주는 방식으로 자신의 구어나 문어 등으로 논증을 형성하기, 표현과 논증을 뒷받침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탐색·수집·처리하기, 텍스트 유형을 여러 가지 기준을 적용하여 구분하기, 대상·상황·목적에 적합하게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 생산하기, 텍스트(구어, 문어, 시각, 복합)의 기능과 텍스트 유형별 분석, 해석, 평가, 생산 원리, 텍스트의 미적 질 감상하기, 상호 이해를 위한 소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갖기, 비판적 성향, 구성적으로 대화하는 태도 갖기,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에 관심 갖기, 학교의 학습, 교내외와 사회의 상호작용에 건설적인 태도로 참여하기, 능동적인 민주시민으로서 긍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책임감 있게 자신의 언어 사용하기)*출처: 이근호 외, 2013, p. 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