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 | · 세포이로부터 전해들은 이야기의 기록: 영국의 개혁 규칙 목록 발표에 따른 캘커타 번왕들의 분노와 종교 전쟁(war of religion)을 위한 비밀 계획들이 메이러트(Meerut)에 있는 세포이들의 주둔지로 배포됨 | · 심상치 않은 시대의 평범한 삶: 봉기의 확산에 따라 농산품 품귀현상, 물 공급 중단에 따른 생활의 불편함, 부패, 죽음, 질병에 대한 우려· 항쟁의 메시지 전달: 항쟁 세력이 지도자와 만나서 계획을 전달하고 토론했던 경험담 제시· 모범적 리더십 사례: 우타르 프라데시(Uttar Pradesh) 지역에서 항쟁을 기획·주도하고 델리에서스스로 지도자가 되었던 샤 말(Shah Mal), 설교를 통해 항쟁을 촉구하고 전투에서 활약했던 아흐마둘라 샤(Malvi Ahmadullah Shah)· 대호족의 영국 지배정책에 대한 생각: 항쟁 중 영국 장교에게 피난처를 제공해 주었던 오우드의 대호족이 그에게 영국 지배정책이 인도인에게 초래한 불행과 이에 따른 항쟁의 필연성을 피력함· 1857년 8월 25일 포고문: 대지주, 상인, 공무원, 장인을 대상으로 그들에게 중요한 이슈와 비전을 약속함· 탄원서: 세포이들이 문제의 소총을 강요받았고 이를 거부한 이들을 수감함. 모두가 결속하여 신앙을 지키기 위해 싸워나가야 함을 강조함· 오우드 사람들이 영국군의 진압에 대응하는 모습: 통신망 단절, 무장과 재결집 · 은퇴한 세포이의 회고록: 약포에 돼지와 소기름을 발라놓은 새로운 소총 사용 강요는 무슬림과 힌두에게 종교적 모독을 주고 기독교로의 개종을 위한 목적이 있었다고 판단함. 이는 오우드 병합으로 반영 감정이 격양되어 있던 상황에서 항쟁의 중요한 촉발점이 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