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Ⅲ-7 12학년 교과서 서술내용

구분 내용
개요 사건의 개요 1857년 5월 10일 메이러트(Meerut)에서 일어난 세포이들의 봉기, 이웃 도시로의 신속한 확산, 세포이들의 델리 입성, 다양한 계층의 합류, 유럽인 대량 학살, 부유층 공격과 약탈, 바하두르 샤(Bahadur Shah) 무굴 황제의 통치 부활 선언, 델리 서쪽 지역으로 봉기 확산
전개 일반인의 봉기동참 일반인이 봉기에 참여하며 공격대상이 확대됨. 주요 도시에서는 대부업자와 부유층도 대상이 되었으며 그들을 압제자 및 영국의 동맹자로 봄
항쟁의 기획과 유사한 패턴 유사한 패턴(공격 시발의 알림, 순서, 방법, 대상 등)으로 일어나는 항쟁에는 사전 계획과 조정이 있었으며, 서로 다른 세포이 병영에서 그들 사이의 의사소통(lines of communication)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함
지역 출신 장교들로 구성된 회의(panchayat)가 칸 푸르의 세포이 병영에서 매일 밤 열렸다는 기록은 세포이들이 항쟁의 기획자임을 암시함(세포이들은 공통된 생활방식, 대부분이 같은 카스트 출신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자신들의 미래를 결정하기 위해 기획했다고 단정할 수 있음)
지도자와 추종자 영국과 대적하기 위해서는 리더십과 조직력이 필요했음. 바하두르 샤 황제는 항쟁의 명목상 지도자가 되었고, 각 지역에서도 지도자들이 등장함. 이는 강제되는 경우도 있었음. 종교 지도자와 선지자들은 영국 통치 붕괴를 예언하는 메시지를 확산시켜 나감
배경 소문과 예언 세포이들에게 의혹이 제기된 소총의 사용 강제, 영국인이 시장에서 판매되는 밀가루에 소와 돼지의 뼛가루를 섞어놓았다는 소문, 1857년 6월 23일 플라시 전투 100주년을 맞이하여 영국의 통치가 종식될 것이라는 예언은 봉기가 실행되는데 중요한 계기가 됨
소문에 대한 신뢰와 확산 소문과 예언의 힘은 사람들이 두려움과 의심에 공감할 때 순환됨. 이들 소문은 1820년대부터 영국이 추진했던 개혁 정책의 맥락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음. 기존 전통의 부정, 강압적 병합 추진과 인도인에 불리한 지세 정책 등으로 누적된 분노는 기독교 선교활동에 의해 악화됨
항쟁 한 가운데 의 오우드 (Awadh) 1851년 달 하우지 총독에 의한 오우드 합병은 영국의 탐욕을 상징하며 1세기 전 벵골을 정복하며 시작된 인도 영토 합병의 완성이었음. 오우드 합병과 번왕의 유배에 따른 주민들의 상실감과 생계와 연관된 손실은 그들의 가치와 정신세계를 붕괴시킴. 오우드에서의 저항은 강렬함과 오랜 지속력으로 잘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지세 개혁의 피해자인 대호족(taluqdar)과 농민들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많은 수의 벵골 세포이들은 오우드 출신의 브라만과 상위 카스트였기 때문에 오우드에서 감지된 위협이 세포이들 사이에 신속히 전달되었고 항쟁에 신속하게 합류될 수 있었음
전개 항쟁을 통해 얻고자 했던 것들 1857년 봉기의 선언문은 모든 카스트와 종교를 초월하는 호소문이었음. 사건에 대한 기록은 승자인 영국 중심이 대부분임. 항쟁의 지도자들이 생각을 전파하고 참여를 독려하도록 하는 소수의 선언문과 탄원서를 통해 봉기를 통해 성취하고자 했던 것을 유추할 수 있음
봉기를 통해 전통적인 계층 구조를 파괴한 영국 통치를 종식시키고 평등주의적인 사회의 대안적 비전을 제시함
진압 영국은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일련의 법안을 통과시켰으며 북인도 전체에 계엄령을 내림. 1857년 6월 초에 진압이 시작되었고 9월에 델리를 점령함. 영국군은 거대한 군사력과 분열책을 이용하였고, 진압 과정에서 단순한 반란이 아닌 커다란 대중적 지지를 얻는 항쟁을 다루고 있음을 깨닫게 됨
결과 및의의 항쟁의 이미지 항쟁에 관한 인도 측의 기록은 지도자들의 서신, 포고문, 탄원서에 불과함. 주로 영국인들의 기록이 역사학자들의 주요 연구대상이 되어옴. 그 일환으로 영국 신문과 잡지에 항쟁 세력의 폭력에 대한 묘사는 영국 대중의 감정을 자극하며 보복과 복수의 요구를 불러일으킴. 그림도 중요한 기록 중 하나임
영국 여성과 영국의 명예, 복수와 응징, 처형을 주제로 한 그림 제시
항쟁의 영웅을 소재로 한 영화와 영웅시를 통해 민족주의를 형상화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