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 영국 통치 정책에 따른 기존 기득권자들의 권위와 명예 약화 |
영국에 의한 번왕국의 양자 상속 불인정, 바하두르 샤(Bahadur Shah)를 무굴의 마지막 황제로 표명 |
총독 달하우지(Dalhousie)의 오우드(Awadh) 병합 필요성 선언8) |
영국이 도입한 지세 제도에 의해 기존 권리를 박탈당한 대지주(zamindar)와 농부들의 불만과 분노, 가족 구성원인 세포이에게로의 분노 확산 |
임금, 처우 조건에 대한 세포이들의 불만, 해외 근무 의무화하는 새로운 법의 통과9) |
영국이 추진하는 개혁(사티 중단, 과부 재혼 장려법 통과, 영어교육 추진, 기독교 선교사와 개종자에 관한 특혜 등) ⇔ 인도인들의 불안(영국에 의한 그들의 종교, 관습, 전통적 삶의 방식 파괴) |
전개 | 새로운 소총 사용 훈련을 거부한 세포이에 대한 해고 및 감형, 이에 대한 메이러트의 세포이들의 반발, 영국 장교 살해 및 무기 탈취 등 전쟁 선포 |
5월 10일 세포이들의 델리에 도착 및 델리 주둔 연대의 반란, 세포이들의 요구에 의한 바하두르 샤 황제의 통치 부활을 선언. 항쟁의 지도자들에 의한 각 번과 동맹 시도, 봉기의 확산 |
영국의 통치가 붕괴되는 모습에 인도인은 자신감을 부여받음 |
영국의 증원군 파견, 항쟁 세력이 쉽게 유죄판결을 받을 수 있도록 새로운 법 통과, 1857년 9월 델리 탈환, 바하드르 샤 황제 종신형 선고 및 랑군 감옥행. 영국은 델리 탄환 후 2년 간 대중적 항쟁 진압 |
결과 및 의의 | 항쟁 세력과 번왕, 주요 지도자들은 재판을 받고 교수형에 처해짐 |
영국은 1859년 말에 통치권 회복, 식민정책에 많은 변화 초래(6가지 변화된 주요 정책 제시) |
[Elsewhere] 중국의 태평천국운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