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VI-2 수학과 정의적 성취 특성 잠재프로파일별 예측변인에 대한 기술통계
예측 변인 | 균등 고성취군 (n=899, 13.1%) | 균등 중성취군 (n=2,856, 41.6%) | 불균등 중성취군 (n=2,451, 35.7%) | 불균등 저성취군 (n=661, 9.6%) | 전체 |
M | SD | M | SD | M | SD | M | SD | M | SD |
국어 성취도 | 226.50 | 40.12 | 212.23 | 34.48 | 206.12 | 33.89 | 194.48 | 36.23 | 210.21 | 36.16 |
수학 성취도 | 236.01 | 50.82 | 210.43 | 38.37 | 190.19 | 34.15 | 166.33 | 40.09 | 202.31 | 43.29 |
영어 성취도 | 226.17 | 45.63 | 208.58 | 42.78 | 196.78 | 39.77 | 181.24 | 41.25 | 204.04 | 43.62 |
국어 교과태도 | 3.11 | 0.57 | 2.78 | 0.39 | 2.65 | 0.40 | 2.48 | 0.68 | 2.75 | 0.49 |
수학 교과태도 | 3.78 | 0.21 | 2.91 | 0.21 | 2.23 | 0.23 | 1.29 | 0.24 | 2.62 | 0.70 |
영어 교과태도 | 3.16 | 0.59 | 2.76 | 0.45 | 2.50 | 0.45 | 2.16 | 0.72 | 2.66 | 0.57 |
학교생활 만족도 | 3.37 | 0.44 | 3.00 | 0.38 | 2.83 | 0.35 | 2.61 | 0.51 | 2.95 | 0.44 |
진로성숙도 | 3.45 | 0.55 | 3.08 | 0.52 | 2.97 | 0.57 | 2.99 | 0.73 | 3.08 | 0.59 |
학습방법 | 3.10 | 0.49 | 2.78 | 0.33 | 2.58 | 0.33 | 2.30 | 0.58 | 2.70 | 0.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