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건물 | 공간 위치 | 2 | 햇빛이 잘 들어 따뜻함을 느낄 수 있는 방향 |
공간 구성 | 9 | 1층에 위치한 교실을 운동장 또는 정원과 바로 연결 |
학습공간 | 5 | 마을을 구성하는 다양한 공간(주민센터, 시청 등)의 활용 |
놀이 휴식 공간 | 8 | 운동장 내 아이들이 모여 쉴 수 있는 공간 |
교실환경 | 공간 구성 | 11 | 교실 내 개별학습 공간과 모둠학습 공간 분리 |
공간 설비 | 9 | 교실 벽면이 칠판, 화이트보드, 컬러 유리벽 등으로 구성되어 생각을 자유롭게 쓰고 지울 수 있음 |
교육과정 | 교육과정 재구성 | 13 | 교실 내 학생 특성에 맞는 교육과정 재구성 |
교수학습방법 | 수업 운영 방식 | 14 | 모둠별 프로젝트 수업 |
수업 전략 | 10 | 힌트나 즉각적인 답을 제공하지 않는 지연적 피드백 사용 |
교수학습 자료 | 자료의 내용 | 4 | 실생활과 관련지을 수 있는 출발점이나 계기로서의 자료 |
자료의 제작 | 2 | 학생들이 직접 준비하는 학습자료(조사, 정보수집 등) |
자료의 활용 | 7 | 디지털 기기 활용한 학생들 스스로 정보 탐색 및 과제물 산출 |
교사 | 역량 | 12 | 다양한 형태의 수업 운영 능력 |
태도 | 8 | 학생들이 다양성을 존중함 |
역할 | 14 | 학생의 독창적 생각 격려 |
학생 | 태도 | 14 | 또래와의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 |
학생 자치 | 3 | 학생 스스로 학교(학급) 제반 사항에 대해 제안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학부모 | 가치 | 4 | 학생들의 배움 과정에 대한 이해 |
태도 | 8 | 학교 수업이 삶 속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협력 |
수업 외 시간 | 놀이 시간 확대 | 1 | 참여율을 높이고 다양한 놀이 방법을 생각할 수 있도록 놀이 시간 확대 |
놀이 활동 내용 | 7 | 수업에서 진행한 놀이 이어서 하기 |
놀이 활동 특징 | 5 | 함께 공유하는 다양한 주제가 있음 |
특별/체험활동 내용 | 8 | 학생이 기획하는 소규모 테마별 체험활동 |
특별/체험활동 장소 | 4 | 교실을 벗어나 미술관, 박물관 등 체험 |
등하교 활동 내용 | 7 | 등교시 교사가 눈을 맞추며 맞이 |
교육철학 | 수업관 | 1 | 학생과 소통하면서 계속해서 진화 |
평가관 | 5 | 학생의 지적 가능성의 평등을 전제한 평가 |
학생관 | 6 | 학생들 각자 창의적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바라봄 |
학교/학급문화 | 분위기 조성 | 10 | 경청의 중요성과 상호 존중하는 문화 |
시스템 구축 | 6 | 학교 밖 다양한 사람들과 협력하여 수업을 설계하는 시스템 |
합계 | 11 | 30 | 21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