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Ⅳ-1 분석 결과 요약표

비교 영역 한국 핀란드
내적 운영 원리 평가 목적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에 비추어 학생의 성취도를 판단하고 학력의 실질적 향상을 도모함 학생들의 학습을 안내하고 촉진하며 자기평가 능력을 향상시킴
평가 거버넌스 교사 평가/학교장 관리 교사 평가/외부 사정관 확인
평가 과정 평가도구 지필 평가, 수행 평가 서답형 평가, 수행평가, 지속적인 관찰, 자기 평가
평가절차 형성평가(수시), 총괄평가(중간/기말) 형성평가(수시), 총괄평가(기말)
평가결과 산출 고정 분할/단위학교 분할 중 선택 교사의 전문성에 따라 등급화
평가의 질 관리 학생 이의제기/교사 검토 학생 이의제기/외부 기관의 검토
평가 결과 평가 결과 보고 시기 2월, 9월 학기 말
내용 9등급(상대), 5등급(절대) 병기 4~10등급(절대)
평가결과 활용 형성평가 시 수시 피드백 제공 성적표에 5등급(절대),석차9등급(상대) 병기 형성평가 시 수시 피드백 제공 성적표에 등급(숫자/문자) 표기
평가 역량 교사의 평가결과에 대한 신임도 낮음 교사의 평가결과에 대한 전적 신임
외적 맥락 평가 문화 성적 부풀리기 성적 부풀리기 가능성 높음 대입 반영비율이 적어 상대적으로 성적 부풀리기 현상 적음
사교육 의존도 사교육 의존도 높음 사교육 의존도 높지만 국가 지원금 존재
대학 입시 내신 산출 9등급(상대) 반영, 2025년 5등급(절대)로 변경 예정 7등급(상대) 반영
학생선발방식 정부가 정책적 주도권을 가짐 정부의 개입이 거의 없음6) 독자적 철학과 방식을 통해 선발
대입반영요소 고등학교 내신 성적· 대학입학시험(수능)·대학 면접 혹은 논술 점수의 합, 혹은 일부의 합 고등학교 내신 성적·대학입학자격 시험 성적·대학 본고사 성적의 합, 혹은 일부의 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