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적 운영 원리 | 평가 목적 |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에 비추어 학생의 성취도를 판단하고 학력의 실질적 향상을 도모함 | 학생들의 학습을 안내하고 촉진하며 자기평가 능력을 향상시킴 |
평가 거버넌스 | 교사 평가/학교장 관리 | 교사 평가/외부 사정관 확인 |
평가 과정 | 평가도구 | 지필 평가, 수행 평가 | 서답형 평가, 수행평가, 지속적인 관찰, 자기 평가 |
평가절차 | 형성평가(수시), 총괄평가(중간/기말) | 형성평가(수시), 총괄평가(기말) |
평가결과 산출 | 고정 분할/단위학교 분할 중 선택 | 교사의 전문성에 따라 등급화 |
평가의 질 관리 | 학생 이의제기/교사 검토 | 학생 이의제기/외부 기관의 검토 |
평가 결과 | 평가 결과 보고 | 시기 | 2월, 9월 | 학기 말 |
내용 | 9등급(상대), 5등급(절대) 병기 | 4~10등급(절대) |
평가결과 활용 | 형성평가 시 수시 피드백 제공 성적표에 5등급(절대),석차9등급(상대) 병기 | 형성평가 시 수시 피드백 제공 성적표에 등급(숫자/문자) 표기 |
평가 역량 | 교사의 평가결과에 대한 신임도 낮음 | 교사의 평가결과에 대한 전적 신임 |
외적 맥락 | 평가 문화 | 성적 부풀리기 | 성적 부풀리기 가능성 높음 | 대입 반영비율이 적어 상대적으로 성적 부풀리기 현상 적음 |
사교육 의존도 | 사교육 의존도 높음 | 사교육 의존도 높지만 국가 지원금 존재 |
대학 입시 | 내신 산출 | 9등급(상대) 반영, 2025년 5등급(절대)로 변경 예정 | 7등급(상대) 반영 |
학생선발방식 | 정부가 정책적 주도권을 가짐 | 정부의 개입이 거의 없음6) 독자적 철학과 방식을 통해 선발 |
대입반영요소 | 고등학교 내신 성적· 대학입학시험(수능)·대학 면접 혹은 논술 점수의 합, 혹은 일부의 | 합 고등학교 내신 성적·대학입학자격 시험 성적·대학 본고사 성적의 합, 혹은 일부의 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