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적 문제해결력(CPS) | 평균 500, 표준점수 100의 척도 점수 |
경제·사회·문화지수(ESCS) | 부모학력(PARED), 부모직업(HISEI), 가족재산 정도(HOMEPOS) 세 개의 표준화 변수를 활용하여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결과를 바탕으로 OECD 국가 참여국 평균 0, 표준편차 1로 표준화한 지수 |
성별(GENDER) | 남=0, 여=1로 코딩한 명목변수 |
관계 존중 | 학생설문 ST82 하위 4문항에 대한 동의 정도:‘나는 남의 말을 잘 들어주는 사람이다’‘나는 반 친구들이 성공하는 것을 보는 것이 즐겁다’‘나는 다른 사람들의 관심사를 고려한다’‘나는 다양한 관점이나 시각을 고려하는 것을 좋아한다’* 평균 0, 표준편차 1의 표준화 변수로, IRT 모형에 근거하여 산출된 척도점수 |
팀워크 존중 | 학생설문 ST82 하위 4문항에 대한 동의 정도:‘나는 혼자하는 것보다 팀의 일원으로 일하는 것을 더 좋아한다’‘나는 개인보다는 팀이 더 나은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생각한다’‘나는 팀워크가 내 자신의 효율성을 높인다고 생각한다’‘나는 동료들과 협력하는 것을 좋아한다’* 평균 0, 표준편차 1의 표준화 변수로, IRT 모형에 근거하여 산출된 척도점수 |
학교평균ESCS | 학교별 ESCS 평균값 |
이질능력집단 협동학습 구성 정도(TC053Q01) | 교사설문 '학생팀 협업 활동 중 다음의 집단 구성을 얼마나 자주 사용하십니까? 다양한 수준의 학생 혼합(groups with a mix of abilities):거의 안함(1), 가끔(2), 자주(3), 항상 또는 거의 항상(4) 중 하나에 응답* 학교별 교사응답에 대한 평균 점수를 기준으로 4점 척도에 대한 학교평균 2.5 이상은 1, 2.5 미만은 0인 이변변수로 사용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