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4 역량 및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의미3)

개념 및 쟁점 의미
역량 • 특정 맥락에서 나타나는 다양하고 복잡한 요구를 성공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능력• 현상에 대한 이해와 설명, 구체적인 문제 해결 시 자신의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 역량의 특징 ① 인간의 관찰 가능한 측면뿐만 아니라 동기나 태도와 같이 심층적인 특성을 포함하는 총체적인 능력(총체성) ② 자신의 지식이나 기술을 적극적이고 반성적으로 활용하여 새롭게 번역하고 재조정하는 능력(수행성 및 반성적 능력) ③ 정체된 능력이 아니라 실제 맥락 속에서 끊임없이 즉각적으로 적응하는 능력(맥락성)
핵심역량 • 역량 중에서 모든 개인에게 필요한 것으로서 다양한 삶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성공적인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국가・사회적으로 합의된 몇 가지 역량
역량과 지능, 기술, 기능, 수행, 실천적 지식의 차이 • 지능은 실제적 세계의 맥락과 다른 지필 검사 상황에서 측정되는 능력이지만, 역량은 구체적인 삶의 요구에 직면하여 실제 수행상황에서 발휘되는 능력을 의미함.• 기술은 자동화, 절차화된 능력을 가리키지만 역량은 구체적인 요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인지적, 정의적, 의지적 요소들을 모두 포괄하는 능력을 가리킴.• 기능은 역량의 한 부분이라는 점에서 역량과 동일하지 않음.• 수행은 특정 맥락에서 발휘되는 능력을 의미하지만, 역량은 그러한 능력 중에서 ‘성공적인’ 수행능력을 의미함.• 역량은 문제해결적인 실천 능력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실천적 지식과 비슷하지만, 실천적 지식은 이론적 지식과 대비되는 개념인 반면 역량은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의 통합을 지향함.
역량기반 교육과정 •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학문 중심 교육과정의 대안적 개념•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과 내용에 대한 이해를 넘어 교과 내용을 실생활에 적용하고 문제해결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함.•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는 역량 습득이 교과의 내용에 대한 이해 못지않게, 때로는 그것보다 더 중요한 교육목표로 강조됨.
교육목적이나 목표를 일반 능력으로 설정하는 것 • 교과 교육을 통하여 습득한 능력이 실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능력으로 ‘전이’되기를 바라면서 교과 교육이 특정 교과들의 지식이나 내용을 가르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에 필요한 능력을 가르치도록 혁신되어야 한다는 교과 교육에 대한 요청을 의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