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Ⅲ-1 통계적 추론 유형과 지필검사 문항의 선택지

통계적 추론 요소 분석 관점 적절한 추론과 부적절한 추론 문항번호-선택지
통계 값에 대한 추론 M1 특이값을 제외하고 평균을 구하며 평균의 의미를 이해한다.1) 1-d, 15-c
평균을 구할 때 특이값을 고려하지 않는다. 1-c
평균과 최빈값을 혼동한다. 15-d
평균과 중앙값을 혼동한다. 15-a
M2 중심과 퍼짐에 대한 통계 값을 상보적으로 고려하여 자료의 특징을 설명한다. 13-c
평균만을 고려하여 자료의 특징을 설명한다. 13-be
불확실성에 대한 추론 U1 불확실한 사건의 확률을 바르게 구하며 이를 적절하게 해석한다. 2-b, 3-d, 8-e, 9-ce, 11-a
확률적 판단을 내릴 때 결과적 접근 전략을 사용한다. 3-ab, 9-b, 11-b, 10-c
확률적 판단을 내릴 때 등확률 전략을 사용한다. 2-a, 7-a, 11-c
확률적 판단을 내릴 때 대표성 전략을 사용한다. 8-abd, 9-ad
U2 상대도수의 변이를 고려하지 않는다. 7-b
이론적 접근을 고수한다. 7-ac
표본에 대한 추론 S1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은 무작위 추출한 표본임을 안다. 10-b
무작위 추출한 표본이 편향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5-c
S2 표본의 크기와 선택하는 방법에 따라 표본의 대표성이 달라짐을 이해한다. 5-b, 6-de
작은 표본이나 편향이 있는 표본을 근거로 모집단에 대한 결론을 유도한다. 10-a
표본의 크기만 크면 모집단을 대표한다고 생각한다. 6-bc, 14-ad
S3 표본의 크기에 따른 표집변이를 이해한다. 12-b
전수조사만을 신뢰한다. 6-a
상관관계에 대한 추론 A1 비율적 추론을 활용하여 2×2 분할표를 적절히 해석한다. 4-①
특정 칸의 절대 도수만을 고려한다. 4(1)-bc, 4(2)-abc, 5a
A2 상관관계가 있는 이변량 자료는 인과관계가 있다고 생각한다. 14-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