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mpkins, (1994) | • 하나의 주제에 초점을 맞춤.• 독자를 안내할 수 있는 단서 단어들을 조직화하기 위해 설명적 글 구조를 적용함.• 첫 번째 문단은 주제 소개, 초점 진술, 독자의 시선을 끌며, 가운데 문단에서는 뒷받침 근거, 세부적 내용들을 활용하여 정보를 제시하며, 결론 문단에서는 아이디어를 정리하여 주제에 대한 마지막 언급을 함. |
Duke&Bennett-Armistrad, (2003)Pappas(2006) | • 주제 또는 테마를 제시하고 그것을 반복적으로 다루며, 주제로 정한 것의 속성이나 특징적인 행위를 기술함.• 비교/대조, 문제/해결, 원인/결과와 같은 텍스트 구조를 가지며, 정의나 분류를 사용함.• 전문어(Technical vocabulary)를 사용함. |
김정은 (2015) | • 내용적 특징 : 높은 수준의 정보성, 객관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독자의 이해를 위한 용이성을 갖춰야 함.• 구조적 특징 : 최상위 구조로서 처음-가운데-끝의 3단 구조를 가지며, 거시 구조로서 나열, 비교 등의 구조를 가짐.• 표지의 특징 : 필자의 의도를 직접적으로 드러내는 내용적 표현 이외에 설명문의 구조를 알려주는 표현, 설명하는 내용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표현, 글 전개 방식과 관련된 표현을 사용함. |
이순영 (2016) | • 설명하는 대상이 글의 초반부터 명확하게 제시됨.• 대상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한 구조나 전개 방식을 사용함• 대상에 대한 정보 전달을 위한 객관적, 사실적, 논리적인 서술이 중심이 됨.• 다른 유형의 글에 비해 정보 전달과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해 조직자(graphic organizer)나 사진과 같은 시각 자료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