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학습몰입 구성요인, 조작적 정의, 측정문항 예시

하위요인 하위요인의 조작적 정의 측정 문항의 예시
명확한목표의식 공부할 때 분명한 목표를 설정하여 단계별로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하게 아는 것 나는 공부할 때 목표를 구체적으로 세운다.
즉각적인 피드백 공부할 때 목표에 맞게 수행되고 있는지 판단하고 조정하는 것 나는 내가 제대로 공부하고 있다고 느낀다.
도전·기능의 균형 공부할 때 적정 수준의 학습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음을 지각하는 것 나의 능력은 새로운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에 충분하다.
과제에대한집중 공부하는 동안 학습과제가 무엇인지 알고 있으며 주의가 분산되지 않는 것 공부할 때는 다른 생각을 전혀 하지 않는다.
행위와인식의일치 공부하는 동안 수행이 거의 자동적으로 진행되는 것 공부하는 과정이 물 흐르듯 자연스럽다.
자의식의 상실 공부할 때 자기 자신의 존재를 인식하지 못할 만큼 활동(환경)과 자신이 하나가 되는 것 나는 공부할 때 내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잘 모른다.
시간의 변형된 느낌 공부하는 동안 시간에 대한 지각이 평상시와 달라지는 것 공부하는 동안은 시간이 매우 빠르게 흐른다.
통제감 공부할 때 자신이 원하는 대로 학습과제를 진행할 수 있다고 느끼는 것 나는 공부를 자기주도적으로 하는 편이다.
자기목적적 경험 공부할 때 학습과제 수행을 하는 그 자체에 대해서 즐거움을 느끼는 것 공부를 하는 것이 즐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