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항목 | 구체적 평가 항목 | W* | R | WxR |
Ⅰ. 목표 | A. 목표 |
1. 교과서의 목표가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는가? (Rubdy, 2003)** | | | |
2. 교과서의 목표가 학습자의 필요와 목적에 부합하는가? (Rubdy, 2003) | | | |
3. 교과서의 목표가 교사의 필요와 목적에 부합하는가? (Byrd, 2001) | | | |
4. 교과서의 목표에 다문화주의 이념과 원리가 반영되어 있는가? | | | |
5. 교과서의 목표에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이 어느 정도 강조되어 있는가? | | | |
6. 교과서의 목표가 사회적 필요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 | | |
소계 | | |
Ⅱ. 내용 제시 | B. 의사소통 지식 (문법적, 사회언어적, 담화적) |
7. 언어구조의 난이도가 적절히 구성되고 점차적으로 증가하도록 조정 되었는가? (El-Dakhs, 2011; Ocak & Baysal, 2016) | | | |
8. 실제(authentic) 영어의 예시들을 얼마나 제시하였는가? (Ur, 1999) | | | |
9. 의사소통 수단으로 준언어적인(paralinguistic) 요소를 얼마나 제시하는가? (얼굴 표정, 억양, 강세, 크기, 피치 등) | | | |
10. 얼마나 다양한 용례(registers)와 말투가 제시되고 있는가? (다양한 계층과 지역의 언어 사용 용례 제시; Litz, 2005) | | | |
11. 차별적인 표현과 내용이 사용되었는가? (성, 계층, 인종, 지역 등) (예:“policemen” 대신 “police officers”; Davidman & Davidman, 1997) | | | |
12. 다양한 텍스트(예: 서술, 설명, 편지)를 얼마나 제시하는가? (Tomlinson, 2003) | | | |
13. 다양한 장르(ex. 시, 소설, 신문 기사, 광고)를 어느 정도 제시하는가? (Tomlinson, 2003) | | | |
소계 | | |
C. 문화간 지식 |
14. 교과서의 다문화적 내용이 국가 교육과정 목표에 얼마나 부합하는가? (Byrd, 2001) | | | |
15. 우리 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인종, 민족, 문화 집단이 교과서 내용에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가? (Banks, 2008) | | | |
16. 문화 요소가 교과서 내용에 어느 정도로 통합되어 있는가? (예: 각 단원 끝에 추가되었는가? 교과서 마지막 부분에 별개의 단원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등; Sercu, 1998) | | | |
17. 학습 목표의 문화와 학습자 자신의 문화에 대한 사회 변화를 반영하는 최신 정보가 어느 정도로 제공되고 있는가? (Feng & Byram, 2002) | | | |
18. 민족적 우월감과 성차별과 같은 사회 구조적 편견으로 인하여 생성된 왜곡되고 부정적인 지식이 왜 사회적인 과정인지에 대한 설명을 충분히 하고 있는가? (Davidman & Davidman, 1997) | | | |
19. 사회 정의와 평등의 중요성에 대해 얼마나 강조하고 있는가? (Grant & Sleeter, 2010) | | | |
20. 다른 나라의 민족 정체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그 나라의 역사적 관점이 얼마나 반영되어 있는가? (Sercu, 1998) | | | |
21. 학습자 국가의 지리적 공간에 대한 정의와 그에 대한 다른 나라의 관점이 얼마나 제시되어 있는가? (예:. 지역과 지역 정체성, 중요한 랜드 마크, 국내 및 국외 경계에 대한 제3자의 인식) (Byram, 1997) | | | |
22. 개인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나라들의 사회정치적 제도들에 대한 정보가 얼마나 제시되는가? (예:. 타 국가 기관, 의료 서비스, 법과 질서) (Byram, 1997) | | | |
23. 다양한 문화적 규범들을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가? (예: 도덕적, 종교적 믿음, 일상생활에서 금기시 되는 행동 등) (Byram, 1997) | | | |
24. 다양한 문화의 사회화와 인생주기에 관하여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가? (예: 가족, 학교, 직업 등) (Byram, 1997) | | | |
25. 다양한 문화권의 창조적인 예술에 대해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가? (예: 미술, 음악, 연극 등) | | | |
26. 다양한 문화권의 사회정치적인 문제들에 대해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가? (예: 인종 갈등, 실업, 환경 문제 등) (Sercu, 1998) | | | |
27. 학습자 자신의 국가에 대한 이미지를 다른 나라의 관점에서 어느 정도 제시하는가? (Byram, 1997) | | | |
28. 서로 다른 문화가 접촉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현상과 오해에 대하여 얼마나 적절히 다루고 있는가? (Sercu, 1998) | | | |
29. 다양한 인종, 민족, 계층, 성별의 사람들이 다양한 직업 세계에서 성공한 사례를 얼마나 보여 주는가? (Davidman & Davidman, 1997) | | | |
30. 교과서 내 삽화가 고정관념 없이 얼마나 객관적으로 제시되었는가? (visual literacy에 대한 학습자 참여 고려) | | | |
31. 교과서의 글자체가 학습자의 다양한 요구에 얼마나 부응하고 있는가? | | | |
소계 | | |
Ⅲ. 학습활동 | D. 학습활동의 다양성 |
32. 개별 및 그룹 활동 등 얼마나 다양한 종류와 수준의 학습활동이 제시되는가? (Littlejohn, 2011) | | | |
33. 학습 활동에서 학습자들이 교환하는 정보가 얼마나 문화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지게 하는가? (Corbett, 2003) | | | |
34. 협동 학습이 얼마나, 어느 정도 수준으로 제시되는가? (협동학습의 다양성 포함; Rubdy, 2003) | | | |
35. 문화적 인식을 유발하기 위한 학습활동이 얼마나 제시되는가? (Culture assimilators, culture capsule, comparison method 등) (Hughes, 2001) | | | |
36. 학습활동이 포트폴리오 및 다른 형식의 진정성 있는 평가 방식(authentic assessment)을 얼마나 제시하는가? (Davidman & Davidman, 1997) | | | |
소계 | | |
E 의사소통능력(문법적, 사회언어적, 담화적)과 학습활동 |
37. 언어의 의미와 형태 둘 다(유창성과 정확성) 초점을 맞추는 학습활동이 얼마나 제시되는가? (Litz, 2005) | | | |
38. 언어의 네 기능(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이 학습활동에 어느 정도로 통합되어 있는가? (학습자의 언어 습득 방식 차이 고려; Litz, 2005) | | | |
39. 학습활동의 문법 내용이 얼마나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현실적인 맥락 안(realistic contexts)에서 제시되고 있는가? (Litz, 2005) | | | |
40. 학습활동의 어휘가 얼마나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현실적인 맥락 안에서 제시되고 있는가? (Litz, 2005) | | | |
소계 | | |
F. 문화간(Intercultural) 태도와 학습활동 |
41. 학습활동이 학습자들에게 다문화 사회의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을 인식하고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Tiedt & Tiedt, 2010) | | | |
42. 학습활동이 학습자들에게 문화간 시민(Intercultural Citizen)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Byram, 2009) | | | |
43. 학습활동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집단에 대해 배우기 위해 차이를 받아들이고 다른 문화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Davidman & Davidman, 1997) | | | |
44. 학습활동이 학생들의 문화적 고정관념을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Ndura, 2004) | | | |
45. 학습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자신의 관점과 다른 관점들에 대한 호기심을 길러주는 기회가 얼마나 제공되는가? (Byram, 1997) | | | |
46. 학습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다름에 대하여 공감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제공되는가? (Tiedt & Tiedt, 2010) | | | |
47. 학습활동이 학습자 자신의 문화에 대한 자신감과 존중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Davidman & Davidman, 1997) | | | |
소계 | | |
G. 문화간 기술과 학습활동 |
48. 학습활동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른 문화 사람들과 접했을 때 적절하게 행동할 수 있도록 얼마나 준비시켜주는가? (Sercu, 1998) | | | |
49. 학습활동이 상호작용 중 생긴 오해를 서로 다른 문화적 규범을 근거로 설명할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예: 상황에 맞지 않는 대화 주제를 꺼내게 된 원인을 문화간 차이를 들며 설명) (Byram, 1997) | | | |
50. 학습활동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문화들의 상호작용 과정의 차이점에 대하여 알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예: 각 나라의 대화 구조, 형식적인 의사소통 방법, 비공식적인 만남 등) (Byram, 1997) | | | |
51. 학습활동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학습자 자신의 나라와 다른 나라간의 과거와 현재의 관계에 대하여 알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예: 신문, 역사, 전문가를 통해 두 나라 간 과거와 현재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관계 파악) (Byram, 1997) | | | |
소계 | | |
H. 비판적 문화적 인식과 학습활동 |
52. 학습활동이 학습자들로 하여금 문서/사건의 배경을 파악함으로써 내재되어 있는 이데올로기를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예: 문서의 출처, 사건의 시간, 공간에 대한 정보, 다른 문서 혹은 사건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이데올로기 파악) (Byram, 1997) | | | |
53. 학습활동이 실제 삶 속의 논쟁적인 문제들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얼마나 제공하는가? (Miekley, 2005) | | | |
54. 학습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얼마나 제공되는가? (Locke, 2010) | | | |
55. 학습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이 본인의 언어 선택에 대하여 비판적으로 인식하며 글을 쓰고 말 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는가? (Locke, 2010) | | | |
소계 | | |
I. 학습자의 역할과 학습활동 |
56. 학습자가 학습활동의 학습내용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제공되는가? (Littlejohn, 2011) | | | |
57. 학습자가 학습활동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제공되는가? (Littlejohn, 2011) | | | |
58. 학습자들 간의 서로 다른 다중지능(Multiple Intelligences)이 학습활동에 얼마나 반영되는가? (예: 언어, 수학, 공간, 신체, 음악, 대인관계, 자기이해, 자연탐구 등) (El-Dakhs, 2011) | | | |
59. 학습자들이 다양한 정신 작용 수준(mental operation levels)에서 학습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제공되는가? (예: 반복학습, 언어 규칙 추론하기, 가설세우기, 협상하기 등) (Littlejohn, 2011) | | | |
소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