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 ․민주 사회 구성원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함양하며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 창의력, 판단 및 의사 결정력 등의 신장을 강조. ․초·중·고등학교의 사회과교육과정 문서가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성격, 목표가 제시되고 3∼10학년 내용 제시 후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가 제시됨. 선택과목의 경우 각각 성격과 목표, 내용 체계가 제시됨. ․사회과의 과목으로 사회, 국사, 인간 사회와 환경, 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다양한 선택 과목을 구성함. ․초등학교 사회과는 3학년부터 6학년에 제시되며,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으로 사회는 3∼10학년까지의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8∼10학년에서 국사가 제시되며, 선택중심교육과정 시기인 11∼12학년에서는 일반 선택-인간 사회와 환경, 심화 선택-한국 지리, 세계 지리, 경제 지리, 한국 근·현대사, 세계사, 법과 사회, 정치, 경제,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선택 가능함. ․인간 사회와 환경은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사회와 심화 선택 과목 사이의 일반 선택 과목임. ․3학년은 고장, 4학년은 지역, 5학년은 우리나라, 6학년은 지구촌 등으로 확대되고, 7학년은 지리와 세계사, 8학년은 세계사와 일반사회, 국사, 9학년은 국사, 지리와 일반사회, 10학년은 지리와 일반사회, 국사가 제시되고 있음. ․사회과교육과정 중 사회의 학년별 내용 부분에서 대체로 중단원 단위마다 <심화 과정> 부분의 내용이 제시되어 수준별 학습이 가능함. 선택과목에서는 <심화 과정>이 제시되지 않음. ․학습자의 흥미와 능력을 고려한 수준별 교육 활동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진도와 성취도에 따른 평가 제시. ․심화 과정 학습자에게는 고차적 사고 기회를 부여하도록 과제를 부여하고, 보충 과정 학습자에게는 기본 과정의 학습 결손을 보충할 기회를 제공함. |
단원내용 | ․고장의 모습과 생활 ․고장 생활의 중심지 ․고장 생활의 변화 ․고장사람들이 살아가는모습 | ․우리가 사는 지역 사회 ․주민 자치와 지역 사회의 발전 ․옛 도읍지와 문화재 ․사회 변화와 가정 생활 | ․우리 국토의 모습 ․여러 지역의 생활 ․세계 속의 우리 경제 ․우리 겨레의 생활 문화 | ․우리 겨레, 우리 나라 ․새로운 사회, 문화로 가는 길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함께 살아가는 세계 |
단원내용 | ․국토와 지리 정보 ․자연 환경과 인간 생활 ․생활 공간의 형성과 변화 ․환경 문제와 지역 문제 ․문화권과 지구촌의 형성 ․시민 사회의 발전과 민주 시민 ․정치 생활과 국가 ․국민 경제와 합리적 선택 ․공동체 생활과 사회 발전 ․사회 변동과 미래 사회 | ․법의 이념과 권리, 의무 ․개인 생활과 법 ․사회 생활과 법 ․국가 생활과 법 ․법 생활의 발전과 과제 | ․시민 생활과 정치 ․정치 과정과 참여 ․우리 나라의 민주정치 ․국제 사회와 정치 ․정치 발전의 과제 | ․경제 생활의 이해와 경제 문제 해결 ․시장과 경제 활동 ․경제 주체의 합리적 선택 ․국민 경제의 활동과 경제 변동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의 미래 전망 |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사회 구조 ․공동체 생활과 지역 사회 ․인간과 문화 현상의 이해 ․현대 사회와 사회문제 ․미래 사회의 전망과 대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