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Ⅲ-4 제3차 교육과정기 사회과교육과정의 특징 및 내용

시기/급 제3차 교육과정기(1973. 2) 국민학교 사회
특징 ․국가 발전과 국민적 과제 해결에 참여하는 국민으로서의 자질 함양. ․1학년은 학교와 가정 등 집단 생활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르고 2학년은 자기가 사는 고장의 사회 생활에 관심을 갖고, 3학년은 고장 생활의 특색을 이해하여 시공간에 대한 의식을 넓히고, 4학년은 시․도의 사회 생활의 모습을 이해하고, 5학년은 조상의 생활에 애정을 갖고 세계 여러 곳의 생활에 관심을 갖고, 6학년은 민주주의 이념을 이해하고 민주 국가 국민의 자각을 굳게 하고 국제 관계 속 협력에 대해 인식함. ․사회과 내에서 5, 6학년의 경우 국사 부분, 지리․공민부분으로 나뉘어 제시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6학년
단원내용 ․학교생활 ․가정생활 ․이웃과 동네의 생활 ․물건의 생산과 유통을 위해 일하는 사람들 ․교통․통신에 종 사하는 사람들 ․생명, 재산 건강 보호에 종사하는 사람들 ․고장의 생활 ․자연의 이용과 의․식․주 ․여러 고장의 생활 ․세계 여러 곳 사람들의 생활 ․고장 생활의 옛날과 오늘 ․고장 사람들의 협동 생활 ․우리가 사는 시․도 ․우리 나라 각 지방 의 생활 ․국토환경과국민생활 ․국토의 보전과 개발 ․우리 조상들의 생활 내력과 그 자취 ․우리 나라 경제 생활의 발전 ․우리나라문화의발전 ․산업과 경제 생활 ․경제 개발 계획과 국민 생활의 향상 ․우리가 사는 세계 ․우리 민족의 성장 ․근대 사회로의 전환 ․세계 안의 대한민국 ․민주주의와 우리의 생활 ․국민으로서의 책임
시기/급 제3차 교육과정기(1973. 8) 중학교 사회과
특징 ․국사가 사회과에서 독립되어 제시됨. ․민주 국가의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높여 국가와 인류 공영에 기여하는 자질 함양. ․1학년은 지역의 특색, 국토의 자원 개발에 대해 이해하고 2학년은 문화 형성과 변화 과정을 이해하고 3학년은 민주주의의 제 원리를 기반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생활의 특성을 인식. ․중학교에서는 국토 통일과 민족 중흥의 사명을 강조하고 민족 주체 의식을 강조함.
학년 1학년 2학년 3학년
단원내용 ․향토 사회 생활 ․우리 나라 각 지역의 생활 ․우리 나라의 자연과 생활 ․세계 각 지역의 생활 ․세계의 자연과 생활 ․우리의 당면 과제 ․인류와 문화 ․고대 세계의 생활 ․중세 세계의 생활 ․근세 세계의 생활 ․아시아의 근대화 운동 ․세계의 시련과 오늘의 우리 ․민주주의와 정치 ․국민 생활과 법률 ․경제 생활·경제 개발 ․현대 사회와 우리 생활 ․인류 사회의 여러 문제 ․우리의 사명
시기/급 제3차 교육과정기(1974. 12) 고등학교 사회과
특징 ․국사는 독립되어 제시되고 고등학교 사회과는 정치․경제, 사회·문화, 세계사, 국토지리, 인문지리 과목을 포함함. ․민주 국민으로서의 자각을 갖고 국가와 민족의 번영에 이바지하는 태도와 능력 함양. ․정치․경제는 민주 정치의 발전과 민주주의를 토착화하는 데 이바지하는 태도 함양, 법률의 이해, 경제의 기본 원리와 국민 경제의 특징 이해.
과목 정치․경제 사회·문화
단원내용 ․우리 나라의 현실과 민족 중흥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우리 나라의 헌법 ․국민과 법률 생활 ․국민 경제의 순환과 성장 ․우리 나라의 현실과 민족의 진로 ․개인과 사회 생활 ․사회 변동과 근대화 ․국가의 발전 계획
(출처: 문교부, 1973, 1974 문서 내용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