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급 |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국민학교 사회 |
특징 | ․국민학교 교육과정은 사회를 포함한 8개의 교과 활동, 반공․도덕 생활, 특별활동으로 구성됨. ․반공․도덕 교육을 전체 학교 교육에서 실시하여 철저한 반공 의식을 함양하고 민주적 신념과 태도를 기르고 올바른 국민 정신의 신장 강조. ․사회과의 목표로 자유 민주 국가의 참된 사회 생활을 이해시키고 투철한 반공 생활 영위 강조. ․학년 목표: 1학년은 우리, 학교나 가정, 2학년은 학교, 가정, 이웃, 3학년은 고장, 4학년은 이웃 지방의 생활, 5학년은 우리 나라의 산업, 6학년은 우리 나라의 자유 민주 국가로서의 정치, 제도, 세계 여러 나라와 협조, 국토 통일 등을 다루도록 제시함. |
학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단원내용 | ․즐거운 우리 학교 ․선생님과 동무 ․학교 가는 길 ․우리 집 ․이웃의 놀이터 ․여러가지 행사 | ․우리 마을의 살림살이를 맡아보는 분들과 기관 ․물건을 대어주는 분들과 시설 ․우리에게 소식을 전하여 주는 분들과 시설 ․여행과 물건의 수송 ․우리들의 생활 안전을 지켜주는 분들과 기관 ․우리들의 마을 생활 | ․고장의 자연 환경 ․고장의 살림살이를 돕는 기관과 시설 ․고장에서 나는 것 ․여러 고장의 생활 ․옛날의 우리 고장 ․앞날의 우리 고장 | ․우리나라의 자연 환경 ․산림 녹화 ․우리 나라의 명승 고적 ․우리 나라 여러지방의 생활 ․모듬살이 ․농업의 발달 ․우리 지방의 발달 | ․근로와 우리 생활 ․자원의 이용 ․기계 발달과 산업 ․경제 생활과 금융기관 ․교통과 상업 ․우리 나라 산업의 발달 | ․우리 나라의 발달 ․민주주의와 정치 ․세계 여러 나라의 생활 ․한국과 국제 연합 ․새로운 문화 생활 ․우리의 할 일 |
시기/급 |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중학교 사회과 |
특징 | ․애국 애족의 정신과 반공 민주 국가 건설의 신념을 기르는 것을 사회과의 목표로 함. ․민주주의에 대한 확고한 신념으로 우리 나라가 발전하도록 하고, 국제협조에 공헌하는 태도를 가짐. ․1학년은 우리 국토의 생활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2학년은 단일 민족으로 통일의 과업을 완수하도록 하고 경제나 문화, 세계의 발전을 이해하게 하고, 3학년은 공산주의를 배격하고 민주주의를 수호하도록 함. ․중학교 사회과: 공민, 역사, 지리 부분의 구분을 하지 않고 역사 단원에서도 세계 역사와 한국의 역사를 같은 단원에 제시하여 동일 시대의 역사를 파악하도록 함. |
학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단원내용 | ․향토 생활과 향토의 제 문제 ․우리 나라 제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활 ․우리 나라의 자연과 생활 ․세계 제 지역의 자연 환경과 생활 ․세계의 자연과 생활 ․세계와 우리 나라 | ․인류 문화의 시작 ․삼국 시대의 고대 세계의 생활 ․민족의 통일과 세계의 발전 ․우리 나라와 세계의 근대화 ․대한민국의 발달 ․오늘의 세계와 우리의 할 일 | ․인간과 사회 생활 ․민주 정치 ․경제 생활 ․문화와 사회 문제 ․국제 관계와 우리 생활 |
시기/급 | 제2차 교육과정기(1963. 2) 고등학교 사회과 |
특징 | ․고등학교 사회과: 일반사회, 국민윤리, 정치․경제, 국사, 세계사, 지리Ⅰ, 지리Ⅱ 과목을 포함함. ․일반사회는 민주주의 사회 생활의 기본 원리를 습득하게 하고, 고등학교 사회과의 한 과목으로 국민윤리는 우리국민 윤리와 국민성 순화에 공헌하고 민주주의에 위배되는 사상을 민주주의와 비교 고찰함. 정치․경제에서도 반공, 도의 정신의 앙양을 강조하고 있음. 국사에서는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찾고 반공 사상을 강화함. 세계사에서는 세계사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왕조의 흥망보다는 사회, 경제, 사상의 문화 생활을 중시함. 지리Ⅰ에서는 국토 지리의 계통 학습에 중점을 두고 우리 나라의 국토와 자원에 대해 학습하고, 지리Ⅱ에서는 세계의 자연과 인문 생활의 특징을 파악함. |
과목 | 일반사회 | 국민윤리 | 정치․경제 |
단원내용 | ․민주주의 ․공산주의의 비판 ․개인과 국가 ․국민 경제 생활 ․국토 건설 ․사회 문제 ․민족 문화의 향상 | ․청소년의 자각 ․문화와 윤리 ․윤리적 가치 판단 ․사상의 변천과 윤리 ․우리 국민 윤리의 확립 ․품격의 도야와 인생관의 형성 | ․민주 정치의 본질 ․우리 나라의 헌법 ․우리 나라의 민주 정치 ․경제의 구조 ․우리 나라의 경제 ․국제 관계와 국제 정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