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급 | 2009 개정 교육과정기(2012. 12) 초·중등학교 사회과 |
특징 | ․2009 개정 교육과정기에는 6여 차례에 걸쳐 부분 수정이 이루어져 잦은 개정이 이루어짐. ․민주 사회 구성원에 필요한 가치·태도를 지녀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 육성. 문제 해결에 필요한 비판적 사고력․의력, 판단 및 의사 결정력 등의 신장을 강조. ․공통 교육과정: 3∼9학년까지 초·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이 공통 교육과정으로 묶여 함께 제시됨. ․선택 교육과정: 사회과의 과목으로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다양한 선택 과목을 구성함. ․초등학교 사회과는 3∼4학년, 5∼6학년으로 묶어 내용 체계를 제시함. ․공통 교육과정으로 사회, 역사가 있으며, 사회는 3∼9학년까지의 내용 체계표가 제시됨. ․고등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9개 일반 과목으로 사회, 한국 지리, 세계 지리, 한국사, 동아시아사, 세계사, 경제, 법과 정치, 사회·문화가 제시되어 선택 가능함. 선택 교육과정 중 심화 과목으로 국제 정치 등 11개 과목을 제시함. |
학년 | 초등학교 3∼4학년 | 초등학교 5∼6학년 |
단원내용 | ․우리가 살아가는 곳 ․이웃과 소통하기 ․사람들이 모이는 곳 ․달라지는 생활 모습 ․우리 지역, 다른 지역 ․도시의 발달과 주민 생활 ․촌락의 형성과 주민 생활 ․경제 생활과 바람직한 선택 ․다양한 삶의 모습들 ․민주주의와 주민 자치 ․지역 사회의 발전 ․사회 변화와 우리 생활 | [지리·일반사회 영역] ․살기 좋은 우리 국토 ․우리 경제의 성장 ․환경과 조화를 이루는 국토 ․우리나라의 민주 정치 ․우리 이웃 나라의 환경과 생활 모습 ․우리 사회의 과제와 문화의 발전 ․세계 여러 나라의 환경과 생활 모습 ․정보화, 세계화 속의 우리 [역사 영역] ․우리 역사의 시작과 발전 ․세계와 활발하게 교류한 고려 ․유교 문화가 발달한 조선 ․조선 사회의 새로운 움직임 ․근대 국가 수립을 위한 노력과 민족 운동 ․대한민국의 발전과 오늘의 우리 |
학년 | 중학교 1∼3학년 |
단원내용 | [지리 영역] ․내가 사는 세계 ․극한 지역에서의 생활 ․자연재해와 인간 생활 ․도시 발달과 도시 문제 ․글로벌 경제와 지역 변화 ․자원의 개발과 이용 ․우리나라의 영토 ․인간 거주에 유리한 지역 ․자연으로 떠나는 여행 ․인구 변화와 인구 문제 ․문화의 다양성과 세계화 ․세계화 시대의 지역화 전략 ․환경 문제와 지속 가능한 환경 ․통일 한국과 세계 시민의 역할 | [일반사회 영역] ․개인과 사회생활 ․사회의 변동과 발전 ․정치 과정과 시민 참여 ․시장 경제의 이해 ․인권 보장과 헌법 ․국민 경제와 경제 성장 ․국제 사회와 국제 정치 ․문화의 이해와 창조 ․정치 생활과 민주주의 ․경제 생활의 이해 ․일상생활과 법 ․헌법과 국가기관 ․국제 경제와 세계화 ․현대 사회와 사회 문제 |
과목 | 사회(10학년) | 경제 | 법과 정치 | 사회·문화 |
단원내용 | ․사회를 바라보는 창 ․공정성과 삶의 질 ․합리적 선택과 삶 ․환경 변화와 인간 ․미래를 바라보는 창 |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의 이해 ․경제 주체의 역할과 의사 결정 ․시장과 경제 활동 ․국민 경제의 이해 ․세계 시장과 한국 경제 ․경제 생활과 금융 | ․민주 정치와 법 ․민주 정치의 과정과 참여 ․헌법의 기본 원리 ․개인 생활과 법 ․사회 생활과 법 ․국제 사회의 법과 정치 | ․사회·문화 현상의 탐구 ․개인과 사회 구조 ․문화와 사회 ․사회 계층과 불평등 ․일상생활과 사회 제도 ․현대 사회와 사회 변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