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 ․국가 생활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을 궁극의 목표로 하며, 저학년에서는 고장 생활에 대한 적응을 우선적으로 하고 4학년 이상에서는 우리 나라를 파악하게 함. ․질문식 교육: 각 단위의 세목마다 질문식으로 제시하여 이를 해결하는 데에 여러 근원을 찾아봄. ․사회생활과에 역사, 지리, 공민의 종합이 필요하며, 하급 학년에서는 일상적 고장 생활을 다루고 상급 학년에서는 역사, 지리, 공민이 종합되어 있음. ․사회생활과의 목표는 사회 생활의 이해 체득에 있으므로 인륜 도덕에 맞는 활동을 실천시켜야 함. ․민주주의적 교육: 교사와 아동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찰, 연구, 추리, 비판, 토론을 하여 아동들 자신이 정당한 결론에 도달하도록 지도함. |
․우리 집 ․우리 학교 ․우리 집의 동물 ․우리 가족의 음식 ․우리 가족의 의복․우리 가족의 휴양 | ․우리의 식량 ․우리의 의복 ․우리의 집 ․우리 고장에서의 여행 ․우리의 통신 ․그 밖의 사회생활을 돕는 이들․일년 중의 기쁜 날 ․우리 나라 국기와 다른 나라 국기 | ․우리 지방 ․각 지역의 생활 양식의 다름(한대/열대/산간/해양 도서지방) ․사람의 자연에 대한 적응(농업/거주/의복) | ․우리 나라의 지도 공부 ․우리 나라 생활의 자연 환경 ․우리 나라의 자원 과 산업 ․우리 나라의 교통 ․우리 나라의 도시와 촌락 ․우리 집의 생활 ․우리 민족의 유래와 고문화 ․우리 나라와 외국과의 관계 | ․지구 이야기 ․원시인의 생활 ․고대 문명 ․아시아와 그 주민 ․유우롭과 그 주민 ․아프리까와 그 주민 ․남북 아메리까와 그 주민 ․대양주와 그 주민·우리 나라와 세계 | ․원시 국가와 상고 문화 ․삼국의 발전과 문화 ․남북조의 대립과 그 문화 ․고려와 그 문화 ․근세 조선과 그 문화 ․일본인의 압박과 해방 ․건전한 생활 ․우리 나라의 정치 ․우리 나라 산업과 경제·우리 민족성 ․우리의 자각과 사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