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3 한국 사회과교육과정의 시기별 분석 기준
시대
분석의 관점
사회과의 목표
시대 상황 반영
사회적 요구
학문 경향 및 선택 과목
사회과의 도입기
교수요목기∼
제1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목표의 변화
․시대별 사회과의 성격의 변화
․초․중․고등학교 사회과 목표
․공산주의 반대, 반공사상 강조
․민족주체성 강조
․민주화 경향
․동북아시아의 정세 반영
․수요자 중심 원리
․역사 교육 강화
․경제 교육 강화
․인성 교육 강화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선택 과목 명칭 변화
․통합 및 분과의 경향
․선택 과목 종류 변화
사회과의 정착기
제2차 교육과정∼ 제4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성장기
제5차 교육과정∼ 제6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변혁기
제7차 교육과정∼ 2015개정교육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