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역 | 코딩 범주 | 범주 설명 |
교육 목표 | 1. 교육목표로서 학교 역량의 설정 | 1-1. 학교 역량의 설정 | “학교마다 필요로 하는 역량”에 주목 |
1-2. 학년(군) 역량 설정 | “학년의 특성에 맞는 중점 역량”에 관심 |
교육 과정 | 2. 역량중심의 교육 과정 재구성 활성화 | 2-1. 역량과 성취기준의 연결 | 역량을 교육과정에 “녹여내기” 위한 방법 |
2-2. 역량 중심의 교과 간 연계· 통합 교육과정 재구성 | 지식을 “섞어서 주기 위한” 시도 |
2-3. 비교과 영역에서의 역량 강 조 | 학교생활 전반의 활동을 “역량과 연결”하기 위한 노력 |
교수·학습 | 3.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의 변화 | 3-1. 체험·참여 중심의 교수·학 습 강조 | “주인공이 되어 움직이고 경험해 볼 수 있는” 기회 제공 |
3-2. 실제적 과제 중심의 탐구학 습 강조 | 삶과 관련된 “실제인 맥락”에 대한 탐구 시도 |
3-3. 학습과정에서의 소통과 협 동 강조 | 타인과의 협력을 “계속 연습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평가 | 4. 역량중심의 평가 시도 | 4-1. 수행 중심의 평가 강조 | “할 수 있는 것”에 대한 평가 |
4-2. 수시로 실시되는 과정평가 강조 | 다양한 방식을 동원한 “자주” 실시되는 평가 |
4-3. 평가주체의 다양화 | 다양한 관점에서의 “피드백” 제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