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연결성 원리 | • 융복합 수학수업은 단편적인 수학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연계성을 생각하여 내용을 구성해야 한다. 내용을 구성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이 크게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① 단학문적 접근 - 수학교과 내 영역을 연결한다. ② 다학문적 접근 - 기능, 지식, 태도 등을 수학교과에 복합시킨다. - 한 가지 주제에 대하여 수학을 포함한 다양한 교과에서 접근한다. ③ 간학문적 접근 - 타 교과와 유사한 내용을 연결한다. - 다른 교과 상황에서의 문제를 연결한다. - 다른 학문 분야와 연결한다. ④ 초학문적 통합 - 사회적 쟁점을 중심으로 연결한다. | ① 단학문적 접근의 예 - 수학사 활용: Barrow, Fermat, Newton, Leibniz의 미분법 탐구② 다학문적 접근의 예 - 공통 주제 중심의 교과별 접근③ 간학문적 접근의 예 - 과학 교과와 개념 연결(시간-위치 그래프에서의 변화율) - 인문사회 교과와 주제 또는 문제 상황 연결④ 초학문적 통합의 예 - 환경, 인권, 노동, 빈곤, 전쟁 등 세계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쟁점을 주제로 내용 구성(예, 패스트패션, 에너지, 조세제도 등) |
과제 맥락성 원리 | • 융복합 수학수업은 학생들의 흥미와 호기심을 일으킬 수 있고 학생들이 실제적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실세계 맥락에서의 활동이나 체험 등을 과제로 제공해야 한다.• 융복합 수학수업에서 실세계 맥락 과제는 개인적 맥락, 지역사회 맥락, 세계사회 맥락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① 개인적 맥락 - 학습자 자신이나 소그룹의 관심사를 소재로 하는 과제 ② 지역사회 맥락 - 학생이 속한 학교공동체, 거주하는 지역사회, 국가의 관심이나 문제를 소재로 하는 과제 ③ 세계사회 맥락 - 세계사회의 이슈나 관심을 소재로 하는 과제 | ① 개인적 맥락의 예 - 주어진 그래프에 나타난 변화율을 해석하고 움직임을 통해 표현하기② 지역사회 맥락의 예 - 우리나라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그래프 그리고 변화율 해석하기③ 세계사회 맥락의 예 - 세계 환경문제 맥락에서의 최적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