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III-1 우리나라 수학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융복합교육의 원리와 실천방안

융복합교육의 원리 및 수학과 교육과정 내용 실천방안
목표 합목적성 원리 • 학생의 진로와 적성을 고려한다(제3차, 제6차 이후).• 수학의 필요성을 알게 한다(제1차 이후).• 수학과의 교수·학습은 학생이 전인적으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2015 개정). • 인성 함양, 전인적 성장, 삶에서 수학의 필요성 인식 등을 고려한 교육목표 제시
내용 내용 연결성 원리 • 수학 영역 간 통합, 수학적 배경을 설명(제4차)하거나 인접 학문과의 관련성을 추구하고 타 교과와 유사한 내용을 통합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학습내용을 연결한다(제5차, 2007 개정).• 여러 수학적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하거나 수학과 타 교과의 지식, 기능, 경험을 연결하여 문제를 해결한다(2015 개정). • 수학 내 영역의 연결, 다양한 수 학적 지식, 기능, 경험 연결(단 학문적 접근)• 수학적 배경 설명(단학문, 간학 문적 접근)• 타 교과와의 유사 내용연결 (간학문적 접근)• 타 교과의 지식, 기능, 경험 연결(간학문, 초학문적 접근)
과제 맥락성 원리 • 수학교과 외에서 학생의 실생활과 관련된 맥락에서의 과제를 제공한다(제1차부터 2015 개정까지 지속적으로 강조). • 수학사 활용• 생활경험 강조• 생활 주변에서의 현상 활용• 일상생활 맥락 활용
방법 학습자 자율성 원리 • 학생이 자주적으로 해결한다(제2차 이후).• 학생이 스스로 탐구한다(제2차 이후).• 학생이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제6차 이후). • 도구활용(제6차)• 자기주도학습>
다양성 원리 • 학생의 경험, 욕구, 흥미, 배경을 인정한다(제3차 이후).• 학생의 능력과 수준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여 적용한다(제3차 이후).• 학습자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다(제7차 이후).• 학습자 맞춤형 수업을 지향한다(2009 개정). • 다양한 수학적 활동 제공• 다양한 풀이 방법 발표 및 존중• 발견학습, 탐구학습, 개별 학습, 설명식 교수, 프로젝트 학습, 토의¬토론 학습, 협력학습, 매체 및 도구 활용 학습
협력성 원리 • 학생들은 협력적인 관계에서의 탐구 활동을 통해 과제를 해결한다(제7차 이후). • 협동학습• 소집단 협력 학습
평가 평가 체제의 다양성 원리 • 결과 뿐 아니라 과정과 계획도 함께 평가한다(제5차 이후).• 학생의 수학학습 과정과 결과는 다양한 평가방법을 시용하여 양적 또는 질적으로 평가한다(2015 개정). • 지필평가, 프로젝트 평가, 포트 폴리오 평가, 관찰평가, 면담 평가, 구술평가, 자기평가, 동료평가 다양한 평가방법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