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소에 대한 감수성 |
◻ 자신의 생활공간(혹은 경험 가능한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가지는 것 ◻ 특정 장소에 대한 경험을 통한 관계 형성으로 장소와 사람의 정서적 교감에 대한 것◻ 인간주의 지리학에서 강조하는 장소감(sense of place)◻ 아름답고 독특한 경관을 기억에 담아두거나 관심을 가짐으로써 지역마다 다른 경관의 차이를 느끼는 것 |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 |
◻ 개인이 자연환경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는 정도◻ 인간 삶의 터전이자 모든 생명체의 존재 방식이기도 한 환경이 건강해야 한다는 생태론적 가치의 중요성과 함께 인간과 자연이 둘이 아닌 하나의 공동체로 이루어짐을 실감하는 것◻ 환경을 자원과 수단으로서가 아닌 존중하고 지켜야할 대상으로 여기는 태도 |
지구촌에 대한 공감적 이해 |
◻ 지구촌 구성원으로서 세계의 다양한 현상과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공감하는 것◻ 세계를 분석적으로 인식하지 않고 마음으로 이해함으로써 인류애를 갖게 하는 것 |
공간과 삶에 대한 성찰 |
◻ 사회적으로 생성되는 공간에 대한 관심, 공간과 삶과의 관련성에 대한 성찰 ◻ 공간은 사회현상을 담을 수 있는 빈 그릇(container)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형성되면서 동시에 사회를 주조하는 힘을 가지는데, 이를 공간성(spatiality)으로 정의, 곧 공간에 대한 실재론(realism)적 관점◻ 구조주의 지리학에서 강조하는 지리학적 상상력(geographical imagination)◻ 사회적으로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에서 공간적 불균형 등에 따른 차이와 차별에 대한 이해와 이를 합리적으로 극복할 수 있는 태도에 관한 것 |
국토에 대한 사랑 |
◻ 국토에 대한 사랑(국토애)으로 애국심을 키워주는 지리교육의 중요한 목적 ◻ 분단된 국토의 현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통일된 국토의 발전과 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관심◻ 분단으로 인한 실향민과 이산가족에 대한 인간적 공감 |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탐구심 |
◻ 경험하지 못한 지역에 관심을 가지고 경험해보고 싶어하는 욕구◻ 교통과 통신의 발달에 따라 접하게 된 미지의 세계에 대한 탐구심◻ 세계 여러 나라들의 자연환경과 문화에 대한 호기심 |
세계호에 대한 관심과 기대 |
◻ 세계화에 따른 현상(농산물 수입개방, 자유무역 등)으로 생기는 생활환경의 변화에 대처하고 준비하며 참여하는 자세와 태도를 내면화 하는 것 |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옴 |
◻ 내가 살고 있는 지역, 곧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 고향에 대한 감정 논의 및 결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