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이해와 환경 | 행복 | • 질 높은 정주 환경, 경제적 안정, 민주주의의 발전 그리고 도덕적 실천 등을 통해 인간 삶의 목적으로서 행복을 실현한다. | • 통합적 관점• 참된 행복• 행복 도시• 민주주의 |
자연환경 | • 자연환경은 인간의 삶의 방식과 자연에 대한 인간의 대응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 • 자연환경과 재해• 자연관• 환경권 |
생활공간 | • 생활공간 및 생활양식의 변화로 나타난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 • 도시와 촌락• 산업화• 정보화 |
인간과 공동체 | 인권 | • 사회제도적 장치와 의식적 노력이 근대 시민 혁명 이후 확립되어 확장되어온 인권을 보장한다. | • 시민혁명• 인간존엄성• 인권보장 |
시장 | • 시장 경제 운영과정에서 나타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다양한 주체들이 윤리 의식을 가져야 하며, 경제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선택을 해야 한다. | • 가격 기구• 금융 설계• 산업 입지• 소비윤리 |
정의 | • 다양한 정의관의 이해와 사회복지제도의 운영은 정의의 실현과 불평등 현상 완화에 기여한다. | • 정의관• 사회 불평등• 공간 불평등 |
사회 변화와 다양성 | 인구 | • 인구 특성은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저출산·고령화에 대응 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인구 정책과 세대 간 책임이 요구된다. | • 인구 변천• 잠재 성장률• 세대 간 책임 |
문화 | • 문화의 형성과 교류를 통해 나타나는 다양한 문화권과 다문화 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문화인식태도가 필요하다. | • 문화권• 문화 윤리• 다문화 사회 |
세계와 평화 | 세계화 | • 세계화는 공간적, 경제적, 문화적 측면에서 인간 삶에 영향을 미치며, 세계화로 인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과 세계시민의식의 조화가 필요하다. | • 세계화와 지역화• 국제 협력• 세계시민의식 |
평화 | • 지구촌 분쟁 해결과 평화 모색을 위해서는 국제관계의 이해와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며, 인류의 미래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발전이 요구된다. | • 평화관• 분쟁 지역• 국제기구와 비정부기구• 지속가능 발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