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2 선행 연구 종합 Ⅱ : 초등학교 1학년의 쓰기 능력과 특성

연구 특징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쓰기 능력과 특성
이성영 (2000) • 설명문, 논설문, 생활문 각20편• 12월에 조사 (1학년 말 자료)• 도시 : 서울, 원주 농촌 : 강원도 8개 (총 10개 학교) Bereiter(1980)의 단순 연상적 쓰기 단계에 명확하게 대응됨• 서술 어미 불일치, 지시어 사용 제한적(23%만 사용), 구조 표지어 사용 드묾• 정의 사용 거의 없음(3학년부터 나타남), 반증 거의 없음(2학년에 발달)• 글로서는 의미 완결성 부족, 주제 통일성 미약(4학년과 6학년에 발달)• 문단 인식이 없음(5학년에 나타남)• 객관적 서술 초보 단계(의견 중심이되 약간의 사실이 언급)• 처음-가운데-끝 인식 저조(4학년 이후 발달)• 사건 수 최다 등장(전 학년 중 가장 높음, 수평 나열적 글쓰기 경향)• 근거 수 2.75개(2, 3학년 보다 많음, 고학년과도 차이 적음, 단순 나열적 특성)
박태호 외 (2005) • 39명의 글• 상중하 수준의 글 총30편• 중소도시 학교 (학교 수 불명)• 우리의 사계절을 년 중 여름인 나라 아이들에게 알리는 쓰기 과제 • 생성한 문장 수 : 평균 5.8개 (39명 중 1명만 한 문장도 쓰지 못함) (참고) 2학년 9.25개, 3학년 16.3개(3학년과 5학년은 큰 차이가 없음)• 글자 쓰기 : 한글 깨치기가 상당히 진행됨.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 숙지는 부족, 맞춤법 부족(소리 나는 대로 표기), 필순 오류 나타남• 낱말 쓰기 : 동사, 형용사, 조사 사용이 미숙, 문맥에 맞는 낱말 사용 부족, 용언 활용, 조사 사용 오류,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특성• 문장 쓰기 : 평균 5.8개 정도의 문장을 생성. 단문이라 어순/호응/의미 오류는 적음. 일반적으로 인사말/자기소개, 마지막 끝인사가 포함됨• 문단 쓰기 : 문단에 대한 개념이 없음. 짧은 글로 온전한 문단이 형성되지 않음. 줄 바꿈 인식 부재, 지시어와 접속어 사용도 제한적임
임천택 (2005) • 30편• 중소도시 학교• 과제: 박태호 외 (2005)와 동일 • 목적, 표현, 조직, 내용 순으로 점수가 높게 나타남• 과제에서 제시된 목적을 그대로 글쓰기에 반영• 화제 관련 아이디어 생성·선정 능력, 내용의 전개·조직 전략 부족• 형식 단락이나 내용 단락에 대한 인식 부족
김경신 (2006) • 187명의 조사 결과• 1학기말 조사• 춘천 1개 학교 • ‘친구’를 주제로 자유 생성(문장 수) : 평균 7.13개 (남학생 6.44개〈여학생 7.81개)• 전체 학생 중 47%가 1〜5개의 문장 생성, 32%는 6〜10개 생성• 지적 발달, 언어 발달, 문장 수 모두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우수
구연정 외 (2008) • 121명의 글• 이야기 서두제시검사• 서울시 3개 학교 • 생성한 글의 양(글쓰기 유창성) : 48개 음절(정확 음절은 45개) (참고) 2학년 68개 음절(정확 66개), 3학년 84개 음절(정확 82개)• 글쓰기 점수 : 형식/조직/문체/표현/내용/주제/전체 측면에서 각 2.65/5점 내외 (참고) 2학년 전체 평균 2.85, 3학년 전체 평균 3.35/5점• ‘쓰기 능력’은 생성된 ‘글의 양(글쓰기 유창성)’과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임• 글쓰기 능력 중에는 ‘내용, 형식’ 요인이 타 요인과의 상관이 높음
안정아 (2013) • 1학년 4명• 1년 동안 쓴 일기• 총589일치 분석• 창원 학교 • 일기 당 생성한 어절 수 : 63개, 문장 수 : 10개• 구어 문법은 익숙하지만, 텍스트 생성에 필요한 문어 문법이 익숙하지 않음• 스토리 구조를 활용하여 일기 쓰기를 수행함• 텍스트성이 발달하면서 점차 전형적인 일기 구조를 갖춤 : 1단 구성(일화) → 3단 구성(배경-일화-논평)으로 발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