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Ⅱ-1 선행 연구 종합 Ι :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쓰기 능력과 발달 단계

연구 연구 설계와 주요 결과 연구 대상 범위와 발달 단계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1 2 3 4 5 6 1 2 3 1 2 3
이성영 (2000) • 6개 학년(총 360편 글 분석) 쓰기 능력 연구• 설명문, 논설문, 생활문을 수합해서 분석• 서술어미, 지시어, 의미완결성, 문단, 구조 표지어, 정의, 객관적 서술, 3단 구성 인식, 근거, 반증, 사건, 주제 통일성(총12개 범주) 별로 채점• 초1(단순 연상적 글쓰기), 초2에서 급격한 발달
박태호 외 (2005) • 6개 학년(총180편), 국어 표현 능력 연구• 우리의 사계절을 년 중 여름인 나라의 아이들에게 알리는 글쓰기 과제• 국어 표현(글자·낱말·문장·문단) 채점• 낱말 쓰기 발달이 크고, 문장 쓰기 발달은 더딤• 1학년과 2학년의 점수 차가 큼
이삼형 주영미 (2005) • 9개 학년(총360명) 쓰기 능력 연구• 사진(교문에 늘어선 선거 운동원들이 어린 아이에게 인사하는 장면)을 보고 글을 쓰는 과제 제시• 주제 명확성, 뒷받침 내용, 논리적 조직, 구조 명확성, 표현 정확성 채점• 초4, 중1, 중2, 고1에서 급격한 발달 확인
신현숙 외 (2007) • 5개 학년(총392명) 쓰기 표현 능력 연구• 설명(사례와 함께 발명품의 가치 설명) 과제, 논증(토요일 등교 찬반) 과제 제시• 어휘 사용, 문장 표현, 정서법 채점• 설명글 : 고학년으로 가면 문장 표현과 정서법 발달 (어휘는 전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 없음)• 논증글 : 고학년으로 가면 정서법만 점진적 발달 (어휘, 문장 표현은 중3에서 감소)• 문종, 항목별 양상이 달라(역전) 발달 단계 확인 불가
구연정 외 (2008) • 3개 학년(총374명) 쓰기 능력과 유창성 관계 연구• 이야기 서두제시검사 제시• 형식, 조직, 문체, 표현, 내용, 주제 채점• 쓰기 능력과 유창성 간의 상관 발견• 채점 요인 중 내용’이 쓰기 능력에 대해 설명력 큼
가은아 (2010) • 5개 학년(총170명) 쓰기 능력 연구• 잘 아는 대상을 친구에게 설명하는 글쓰기 과제• 내용-조직-표현-형식·표기 채점• 초6〜중2(총점 점차 감소), 중3〜고1 동질 집단• 중3에서 급격한 발달, 남녀의 점수 차 발견
서영진 (2011) • 8개 학년(총480명), 쓰기 과제 수행에 대한 설문 연구Bereiter(1980) 중 2〜5단계에 근거하여 설문 구성• 3〜5학년(언어 수행적 쓰기 단계), 6〜8학년(의사 소통적 쓰기 단계), 9〜10학년(통합적 쓰기 단계)로 밝혀짐• 초3, 초6, 중3에서 급격한 발달이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