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다문화교육 관련 주요 시범학교 정책

명칭 도입 시기 운영 규모 도입 취지
방과후 학교 시범학교 2006년 전국 278교 - 다문화가정 학생의 학습결손 방지- 한국어지도, 교과지도, 문화체험 교육
다문화교육 연구학교 2006년 ’06년 2교’08년 10교’10년 16교 - 다문화가정 학생의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다문화 관련 교사 및 일반학생의 인식제고
다문화교육 거점학교 2009년 ’09년 42교’10년 46교’11년 80교 - 다문화학생이 다수 재학 중인 학교를 지역사회의 거점학교로 지정, 인근지역 다문화학생을 위한 방과후 프로그램 및 창의적 체험활동을 통한 한국어, 이중언어, 상호이해교육, 방학 중 캠프 운영-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학생 대상에 맞는 활동과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시범 적용하고 집중 지원하여 해당 사례를 타 학교로 전파하는 역할
다문화 예비학교 2012년 ’12년 26교’14년 80교 - 중도입국 다문화가정 학생의 정규학교 배치 전 한국어 및 한국문화 이해 교육 실시, 초기 적응력 강화- 중도입국 학생의 다문화적 역량 계발
글로벌 선도학교 2012년 150개교(‘12〜13년) - 거점형 학교: 인근 지역 다문화학생을 지원- 집중지원형: 다문화교육 우수사례를 타 학교로 전파
다문화교육 중점학교 2014년 ’14년 210교 - 모든 학생에 대한 다문화교육, 다문화 학생 맞춤 지원 실시- 다문화, 일반학생의 실질적 사회통합기반 조성- 다문화교육 우수사례를 공유, 확산하여 다문화교육 활성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