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향 (Impact) | 6.대안적 관심 | 중대한 변화 혹은 보다 강력한 대안으로의 대치 등 혁신으로부터의 전반적인 이익을 탐색하는 것에 관심이 집중됨.현존하는 혁신의 형태 혹은 앞으로의 바람직한 형태의 대안들에 대한 명확한 개념을 갖게 됨. |
5.협력적 관심 | 혁신을 사용하는 일과 관련하여 다른 사람과의 조정과 협동에 관심이 집중됨. |
4.결과적 관심 | 자신의 직접적인 형향을 받는 학생들에 대한 혁신의 효과로 관심이 집중됨.학습 결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실행, 능력 변화를 포함하여 관심은 학생들의 혁신에 관련되고, 학생을 위한 변화의 적절성과 학습 결과의 평가에 집중됨. |
과제 (Task) | 3.운영적 관심 | 혁신을 사용하고 정보와 자원을 최대로 활용하는 과정과 과제로 관심이 집중됨.혁신의 효율성, 조직화, 경영화, 시간 등에 관한 관심이 가장 큰 상태. |
자신 (Self) | 2.개인적 관심 | 혁신의 요구 조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자신의 능력 여부, 혁신에 관련된 자신의 역할 등에 대해 불확실하게 알고 있음.조직의 보상 구조, 의사 결정, 현존 구조와 개인의 책임 간의 잠재적 갈등 등에 대한 숙고와 관련된 자신의 역할을 분석하는 것을 포함.자신과 동료들에 관한 재정적 혹은 직위 등의 의미를 관심에 반영 |
1.정보적 관심 | 혁신에 대해 일반적인 인식을 하게 되고 혁신에 해한 구체적인 사항을 학습하는데 관심을 가지게 됨.혁신에 관련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이 없고, 혁신의 일반적인 특성, 효과, 사용하기 위한 조건 등에 대해 사심 없는 태도를 보이며 혁신의 본질적인 면에 흥미를 가짐. |
무관 (Unrelated) | 0.지각적 관심 | 혁신에 대한 관심 또는 참여가 거의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