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6 학교특성 변인들이 중학교 수학 기초학력미달비율에 미치는 영향의 위계적 회귀분석 (N=2,968)

학교특성 변인 중학교 수학 기초학력미달비율
모델4 모델5 모델6
B (β) 표준 오차 B (β) 표준 오차 B (β) 표준 오차
교사 및 수업 운영 기반 학교 변인 교사전문성 신장지원 −.651 (−.065**) .185 −.131 (−.013) .183 −.164 (−.016) .169
학습부진 전담강사 배치 (예=1) .159 (.015) .202 .144 (.013) .196 .207 (.019) .182
학생수준별 학습자료의 개발 및 제공 (예=1) −1.001 (−.064**) .305 −.869 (−.056**) .295 −.393 (−.025) .274
맞춤형 개별화 학습관리 프로그램 운영 (예= 1) −.991 (−.074**) .261 −.830 (−.062**) .253 −1.034 (−.077**) .235
학부 모 기반 학교 변인 학업성취에 대한 학부모 요구 −1.150 (−.143**) .191 −.612 (−.076**) .179
학부모의 학업성취 지원 −1.181 (−.172**) .205 −.616 (−.090**) .193
학부모 교육할동 참여 및 지원 .245 (.035) .191 .337 (.049) .177
학생 기반 학교 변인 방과후 학교 참여 비율 −.1.356 (−.142**) .167
학원·과외 수강 등 사교육 −.846 (−.100**) .183
자기주도학습 −5.294 (−.336**) .323
F 14.221** 69.768** 165.293**
R2 .019 .084 .215
R2 변화량 .019 .065 .132
p<.01,
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