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5 학교특성 변인들이 중학교 수학 우수학력비율에 미치는 영향의 위계적 회귀분석 (N=2,968)

학교특성 변인 중학교 수학 우수학력비율
모델1 모델2 모델3
B (β) 표준 오차 B (β) 표준 오차 B (β) 표준 오차
교사 및 수업 운영 기반 학교 변인 교사전문성 신장지원 .0642 (.041**) .294 −.647 (−.041*) .277 −.626 (−.040**) .212
학습부진 전담강사 배치 (예=1) .344 (.020) .321 .350 (.020) .296 −.336 (−.019) .228
학생수준별 학습자료의 개발 및 제공 (예=1) 2.046 (.083**) .484 1.726 (.070**) .447 .385 (.016) .343
맞춤형 개별화 학습관리 프로그램 운영 (예=1) −.952 (−.045*) .415 −1.363 (−.064**) .383 −.279 (−.013) ,294
학부 모 기반 학교 변인 학업성취에 대한 학부모 요구 2.388 (.187**) .289 1.066 (.084**) .223
학부모의 학업성취 지원 2,593 (.239**) .311 .702 (.065**) .241
학부모 교육할동 참여 및 지원 .117 (.011) .290 −.152 (−.014) .221
학생 기반 학교 변인 방과후 학교 참여 비율 1.135 (.075**) .209
학원·과외 수강 등 사교육 5.288 (.394**) .229
자기주도학습 9.124 (.366**) .404
F 6.766** 174.148** 705.018**
R2 .009 .158 .509
R2 변화량 .009 .149 .351
p<.01,
p<.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