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교육과정에 대한 교원의 관심: 영역 및 단계 구분에 따른 정의

영역 관심의 단계 관심의 정의
자신 0. 무관심/지각적 (awareness) 개정 교육과정에 대해 관심도 없고 참여하지도 않는다.
1. 정보적 (informational)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세부적인 것을 알고자 하고, 적극적으로 개정에서 중요시되는 점을 알고자 한다.
2. 개인적 (personal) 개정 교육과정의 요구사항과 그 요구사항을 처리할 수 있는 자신의 능력, 자신의 역할에 대해 확실히 알지는 못한다. 그러나 조직의 보상구조, 의사결정, 기존 구조, 개인적 관계의 갈등 가능성 등과 관련하여 자신의 역할을 분석하게 된다. 그리고 재정적인 면이나 사회적 지위 여부에 관심을 나타낸다.
업무 3. 운영적 (management) 개정 교육과정 활용에 초점을 두고, 정보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다. 효율성과 관련된 조직, 운영, 계획, 요구시간 등이 중요시된다.
결과 4. 결과적 (consequence) 개정 교육과정이 학생 등에게 즉각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둔다. 개정된 사항이 학생들에게 적절한지 평가하는 데 초점을 두고, 학생의 성취를 높이기 위해 필요한 교사의 실행, 능력, 변화 등에 최고의 관심을 나타낸다.
5. 협동적 (collaboration) 개정 교육과정의 활용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조정·협조한다.
6. 대안적 (refocusing) 중대한 변화의 가능성, 또는 보다 강력한 대안으로의 대치 등 개정의 보편적인 이점의 탐색에 관심이 있다. 더 좋은 결과를 가져올 방법들에 관심을 갖는다.
출처: Rutherford(1977이지은, 신재한, 2012, pp. 139에서 재인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