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과학 수업을 위한 ‘讀·討·論 모형’의 단계별 주요 활동

과정 학생의 주요 활동 교사의 주요 활동
[개별] 과학자의 과학 텍스트 읽기 방법에 대해 이해하기 과학자의 과학 텍스트 읽기 방법에 대한 설명과 시범
① 텍스트의 출처(저자 및 출처) 확인② 텍스트의 맥락(텍스트가 쓰인 시점, 텍스트의 영향) 점검③ 확증 작업(텍스트의 내용에 동의 또는 동의하지 않는지)을 하며 읽기④ 정보가 조직된 방식(텍스트 구조)에 유의하면서 내용 파악하기⑤ 시각적 표상과 텍스트의 내용을 연계하면서 읽기⑥ 과학 정보의 타당성 판단하고 다른 과학 정보와의 합치 정도 점검하며 읽기
[개별] 과학 언어와 과학 개념(지식/용어)의 특성 이해하기 과학 언어의 특성과 어려운 과학 용어에 대한 지도
㉠ 명사(구)화된 과학 용어의 의미 파악하기㉡ 과학 용어와 일반 용어와의 관계 파악하기㉢ 주요 개념 설명에 쓰이는 비유와 유추 이해하기㉣ 과학 개념의 시각적 표상 이해하고 텍스트와 연계하여 이해하기㉤ 필요하다면 과학사적 맥락에 관한 자료 제공(교사)
[개별] 텍스트 읽고 이해하기 학생들은 교실에서 제각각의 정체성을 드러내지만 과학 시간만큼은 본인들도 과학자인양 하는 마음으로 수업에 임하도록 독려한다.
[모둠별] 읽고 설명하기 • 자신이 이해한 내용을 다른 모둠원에게 설명하기  - 모둠원 모두가 지식 공유하기[모둠별 및 전체] 논의하기 • 이론과 그것을 뒷받침하는 자료 사이의 관계에 대한 대안적 이론은 없는지 의견 나누기  •주어진 문제 상황에 대한 해결 방안이나 개선 방안 찾기  - 문제 해결에 필요한 지식 조합하기  - 추리나 예상에 의한 정보 생성하기 • (과학 관련 정책 사안에 대해 토의하기) 개인의 학습(읽기)에서 공동의 학습(설명)으로 이어지도록 하는 과정에서 지식을 보다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습득하도록 돕는다.‘讀’ 과정에서 습득한 지식들을 서로 연계하거나 종합하여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나 개선 방안을 찾는 과정에서 새로운 지식들이 생성될 수 있도록 돕는다. - 이렇게 생성된 지식이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지만 학생들 수준에서는 자신들도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도록 하기에 충분하다.개인의 일상 경험과 과학 경험을 연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데 과학적 탐구의 방법 또는 과학적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개별 또는 모둠별] 평가하고 글쓰기 • 수업 내용과 관련된 적절한 장르의 글쓰기 • 가장 최선의 방안을 글로 작성하기  - ‘討’에서 생성한 지식들을 평가하고 가장 좋은 해결 방안이나 개선 방안을 조리 있게 글로 제시한다. 수업 내용과 관련된 가장 적절한 장르의 글쓰기 과제 부여(이는 수업 초반에 안내할 수 있음)
발표하기 전체 학생이 쓰기 결과를 공유하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