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V 창의적 실행 | 혁신적이고 창의적으로 실행한다.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통해 교육 과정 각 하위영역들을 각 개인과 학습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고 통합한다. | 교육혁신 실행의 질에 대한 재평가를 하고, 학생들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려고 현재의 교육과정 혁신에 대한 대안이나 대폭적인 수정안을 찾고 있으며, 새롭게 개발된 형태들을 검토하고 자신과 학교조직을 위해 새로운 목표를 탐색한다. | VI 혁신 |
가능한 영역에서 학생들에게 영향력을 미치기 위하여 교육혁신과 관련 있는 동료 교사들의 활동을 자신의 교육과정 실행에 결합시킨다. | V 통합 |
III 효과적 실행 | 효과적으로 실행한다.교사는 교육과정의 근본이 념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고, 교육과정의 장기적인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교육 과정의 내용 영역들을 활용 한다. | 교육과정 혁신의 대상자(학생이나 기타)에 효과를 높이기 위해 실행이 변형된다. 이 변형은 학생에게 미치는 단기적이고 장기적인 결과들에 대한 정보에 근거한 것이다. | IVB 정교화 |
교육혁신의 실행이 안정적이다. 교육과정 혁신을 실행하는데 있어서 어떠한 수정도 없다. 교육과정 혁신의 실행과 그 결과를 개선하려는 생각이나 준비는 전혀 없다. | IVA 일상화 |
II 기계적 실행 | 기계적으로 실행한다. | 자신의 교육과정 실행을 되돌아 볼 여유도 없이 하루하루의 단기적 교육과정 실행에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 실행은 학생들의 필요보다는 실행자인 교사의 필요에 의해 변화된다. 실행자인 교사는 무엇보다도 교육과정 혁신의 실행에 요구되는 업무들을 익히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실행은 대체로 체계적이지 못하고 피상적으로 이루어진다. | III 기계적 |
I 초기적 실행 | 최저 수준에서 실행한다.교사는 교육과정에 대해 이해하기 시작했고 교실에 그것을 적용하기 시작 한다. | 교육과정 혁신을 실행하려고 준비하고 있다. | II 준비 |
혁신에 대해 알고 있거나, 정보를 얻고 있으며, 교육과정 혁신이 지향하는 바와 실행에 필요한 조건들을 탐색하고 있다. | I 탐색 |
0 비실행 | 전혀 실행하지 않는다.교사는 교육과정의 각 영역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있다. | 교육과정 혁신에 대해 거의 혹은 전혀 알지 못하고 실행도 하지 않으며, 그 실행을 위한 어떠한 조처도 취하고 있지 않다. | 0 비실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