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2차 검토 결과

1차 수정안 1차 수정안에 대한 검토 의견
1. ‘논술’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2차 수정안 1. 논술의 성격 부분에 대하여- 타교과와의 연관성에서 (작문)은 삭제하는 것이 좋을 듯함.2. 목표 부분에 대하여- 논술은 개인의 문제보다는 사회적 문제에 대하여 쓰는 것이기 때문에 인성함양보다는 ‘공동체 문제에 대한 합리적 해결’이라는 것이 더 나을 듯함.- 세부 목표 중 ‘교과 통합적 지식을 형성한다’는 것은 ‘지식 형성의 기반을 다진다’ 정도로 해야 적절함. 통합교과라는 말은 들어갈 필요는 있음.- 세부 목표에 제시된 것은 내용영역에 그것이 어떻게 구현되어 있는가가 드러나야 함.3. 내용 체계 부분에 대하여- 요약과 축약은 어떻게 구분되는 것 인지? → 단순 요약/ 통합 요약으로 구분- 글(사고)는 글의 이해, 또는 논술문의 이해로. 사고보다는 글이 더 적합함. 텍스트라는 말을 어떻게 다른 말로 바꿀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함.- 텍스트라는 용어를 안 쓴다면 ‘글과 자료’로 수정 고려- 내용체계 목차 2, 3, 4를 ‘2. 분석적 글쓰기, 3. 비판적 글쓰기, 4. 설득적 글쓰기’로 수정 고려 필요. 그러나 이렇게 할 경우 1. 논술이란 무엇인가의 3) 논술과 비판적 사고에서 비판적 사고와 중복됨 → 그렇다면 이 부분을 논술과 사고로 수정하는 방안 고려 필요- 3단원의 3) 대안 모색과 제시 방법은 고등학생에게 어려운 부분인데 그냥 두어도 무방할지 검토 필요. 설득적 글쓰기는 문제 제시 → 문제 해결(+정당성) → 반론 검토 이런 식으로 가는데 마지막 반론 검토는 생략 가능함- 설득적 글쓰기 3) 논술문 작성 및 퇴고에서 퇴고는 불필요- 논술 유형과 구성을 설명문과 논설문로 나누는 것의 적절성에 대한 검토 필요- 논술에 필요한 문법이란 것은 무엇인가? 맞춤법 또는 잘 틀리는 오류에 대한 것을 의미하는가? → 논술에 적합한 수사적 기법, 논술에 필요한 문법과 규범, 논술을 위한 작문 지침과 평가기준 등으로 바꿔서 표현. 분석적 글쓰기에 필요한 수사적 표현? → 이렇게 되면 국어 작문 교과와 비슷한 구조로 됨.- 학습 윤리는 글쓰기 윤리로 바꿔서 표현 필요. 올바른 자료활용법과 글쓰기 윤리? → 작문 교과에서는 이것에 대한 내용이 없음. 왜냐하면 작문은 학문적 글쓰기에 해당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임.- 5단원을 반드시 맨 뒤에 넣어야 하는지에 대한 검토 필요. 5단원을 해체하여 2, 3, 4에 중단원으로 넣는 방안 검토 필요.
논술’의 성격
논술의 정의 논술은 세계와 인간에 관한 지식(정보)의 전달과 수용 그리고 새로운 지식(정보)의 창출을 위한 ‘지적 의사소통’의 주된 양식으로서 ‘논리적 글쓰기’를 말한다.
논술의 특징 위 정의를 따를 경우, 논술은 다음의 두 가지 특징을 지닌다. 첫째, 논술은 지식(정보)의 전달과 수용에 해당하는 의사소통 양식이다. 둘째, 논술은 지식의 획득 및 새로운 지식의 창출과 관련된 학습 (혹은 탐구)양식이다. 전자가 결과적 특징이라면, 후자는 과정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논술’ 과목의 영역 및 목표 첫째, ‘논술’은 지적 의사소통 능력과 비판적 사고 력의 동시 함양하기 위한 과목이다. 논리적 글쓰기 실습 과정을 통해 문자적 소통 능력과 사고 능력의 교호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둘째, ‘논술’은 학습(탐구)을 위한 글쓰기 실습과목이다. 개별 교과 내용을 텍스트로 활용하는 논리적 글쓰기를 실습함으로써 개별 교과 내용에 대한 심화 학습을 도모한다.셋째, ‘논술’은 ‘교과 통합적’ 성격을 지닌다. 앞에서의 개별 교과 내용의 심화학습을 기반으로 다양한 주제의 글쓰기 과정은 교과 통합적 지식 형성을 가능하게 해준다.
타 교과와의 연관성 ‘논술’은 작문의 한 유형으로, 지적·학문적 탐구를 위한 과목이다. 따라서 그 목적에 따른 특유의 글 쓰기 방법과 규약이 따로 존재한다. ‘작문’이 글쓰 기 일반 과목라고 한다면, ‘논술’은 ‘화법과 작문’과목의 내용 체계 중 ‘정보 전달’ 및 ‘설득’ 영역의 (작문) 심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논술’의 목표
총괄 목표 -지적, 학문적 의사소통능력 함양-비판적 사고력의 함양(⇒사고의 깊이과 폭의 향상)-인성 함양
세부 목표 -학문적 탐구에 필요한 글쓰기 능력을 기른다.-개별 교과에 대한 심화 학습 능력을 기른다.-교과 통합적 지식을 형성한다.-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기른다.
하위 목표 -텍스트를 독해하고, 분석하는 능력을 기른다.-텍스트를 평가하고 비판하는 능력을 기른다. -텍스트를 창의적으로 산출하는 능력을 기른다.-논술에 적합한 문법적 지식과 수사적 기법을 익힌다.-작문 주제 혹은 문제 상황에 접근하는 능력을 기른다.-자신이 생각을 분명하게 전달하는 능력을 기른다.-자신의 견해를 입증하는 방법을 익힌다.-폭넓고 깊이 있는 해결책을 모색한다.
2. 내용체계 2차 수정안
1. 논술이란 무엇인가 1) 논술의 정의2) 논술의 기능3) 논술과 비판적 사고
2. 글(사고)의 이해 1) 글의 유형 구분 : 텍스트의 논리적/매체적/형태적 성격에 따른 구분2) 축약 지침과 적용3) (논증적) 요약 정립과 적용
3. 글(사고)의 평가 1) 글의 유형 구분 : 논증적 / 비논증적 텍스트 구별2) 평가 지침과 적용3) 대안 모색/제시 방법
4. 글(사고)의 창출 1) 논술문의 성격 정립 : 지적 문제 해결로서의 글쓰기2) 논술문의 유형과 구성 : 설명문과 논설문3) 논술문 작성 및 퇴고
5. 논술의 표현 전략 1) 논술에 필요한 문법2) 논술에 필요한 수사적 기법3) 학습 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