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논술’ 과목 교육과정 설계의 철학 1. ‘글쓰기를 통한 학습 (learning with writing)’: 논술은 심화 학습 양식이다. 2. 교과 통합성 강조: 1과 연관 하여 개별 교과 지식 통합의 방법론 3. 철저한 실습 위주의 수업 설계(학습내용 및 성취 기준) 4. 학문적 의사소통 능력 및 비판적 사고력의 동시 함양 | 1. ‘논술’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대입논술과의 관계성 정립임.2. ‘글쓰기를 통한 학습’이라는 논술의 목표는 다소 폭이 넓음. 사고력, 학문적 의사소통능력 및 논리적 문제해결로서의 글쓰기를 추가할 필요가 있음. 이를 통해 생활 논술로서의 교과 설정이 가능함.3. 입시논술이 아니라 교과논술이라면, 아이들의 삶 속에서 교과지식을 녹여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함. 이를 위해 ‘문제 해결’ 기능이 학습목표에 들어가야 할 필요가 있음. ‘문제해결력’과 ‘사고력’은 논술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논의도 필요함.4. ‘창의적 글쓰기 지향’ 목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필요함. 이는 곧 ‘자신의 글을 쓴다는 것’, ‘논술문을 쓸 때 논술문이 자기 글이 되도록 쓰게 한다는 것’을 의미함.5. ‘글쓰기 능력 배양’과 관련하여, 여기에 교과 내용이 포함되는 것인지, 아니면 대주제를 주고 가는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필요함.6. 논술은 텍스트나 제시문을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기에 결국 다루어야 할 텍스트가 무엇이 될 것인가로 귀결됨. 개별 교과내용의 심화 학습을 목표로 제시하면 개별 교과 내용을 별도로 제시해야 할 수도 있음.7. 논술의 방법을 제시하는 것 이외에 다음의 사항을 고려해야 함. ① 능력을 길러주는 방식으로 사회나 과학에서 내용을 차용하여 쓸 수 있는 장치를 줄 것인지, 아니면 능력이나 역량을 제시하고 논술이 각 능력을 어떻게 길러줄 수 있는지를 제시할 것인지, ② 논술과 통합교과적논술의 차이를 설명해야 함. ③ 능력을 배양시킬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상해야 함. 과정이 목표가 될 수도 있고 결과가 목표가 될 수도 있음을 고려해야 함. ④ 대학 통합형 논술이라는 것은 텍스트를 각 교과에서 끌어왔다는 뜻 정도로 다소 애매모호하게 이해되고 있음. ⑤ 큰 주제를 제시하고 각 교과에서 내용을 가져와서 실제 글을 쓰게 하는 과정을 넣어야 함. ⑥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것과 교과서를 구성하는 것은 다른 차원임.8. 고등학교에서 요구되는 논술은 다음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 가능 함. 학술적 논술문쓰기, 대중적 논술 쓰기, 입시형 논술임. 또한 논술에서 토론의 배분을 어느 정도 할 것인지, 내용체계를 능력에 초점을 둘 것인가, 아니면 교과 내용에 초점을 둘 것인가에 대한 논의, 교육 과정에 교과서 집필방향을 제시하고, 교과서 집필 유의사항을 쓸 때 자유를 허용해 주어야 함. |